저자(한글) |
YE, Qin,TONG, Jin-nan,AN, Zhi-hui,TIAN, Li,ZHAO, Xiao-ming,ZHU, Shi-xing |
초록 |
중국 남부 신원생대 후기 더우산퉈층(Doushantuo Formation)에 보존된 인산염화 화석은 후생 동물의 기원 및 진핵생물의 진화와 중요한 연관이 있다. 후베이(Hubei) 서부 황링(Huangling) 융기 북쪽 변두리의 장춘핑(Zhangcunping) 지역은 중국 남부의 가장 중요한 산업 인광석 산지 중 하나이며, 주요 인광석 층서는 에디아카라기 지층에 속한다. 그러나 인회암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는 시추 코어 샘플의 대량 연속 절편을 이용하여 더우산퉈층 인광석 층서로부터 보존이 잘 된 풍부한 미세 화석을 발견하였다. 화석 조합에는 동물 배아일 가능성이 있는 Megasphaera inornata 화석, 대형 가시 돋친 아크리타크(Barbed acritarchs) Appendisphaerasp., Cymatiosphaeroides kullingii, Dicrospinasphaera sp., Ericiasphaera magna, Weissiella sp., 다세포 조류 Wengania globosa, W.exquisite, Sarcinophycus papilloformis, Thallophyca sp., 구상/사상 남조류 화석 Archaeophycus yunnanensis, Cyanonema majus, Salome nunavutensis, Obruchevella minor, Siphonophycus kestron, S.typicum, S.robustum, S.septatum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미세 화석(microfossil)의 발견은 본 지역 인산염화 화석의 자료를 풍부하게 하였다. 본 화석 조합의 모습은 구이저우(Guizhou) 중부 지역 더우산퉈층 인회암의 '웡안(Weng'an) 생물군' 그리고 양쯔협곡 동부(East Yangtze Gorges) 더우산퉈층의 전형적 규화(silicification) 생물군과 유사성을 지녔다. 화석 층서 연구는 중국 남부 다양한 퇴적상 지역 더우산퉈층의 지층 비교에 새로운 참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