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칭하이(Qinghai) Dur'ngoi 구리 괴상황화광상(massive sulfide deposit)은 칭짱고원(Qinghai-Tibet Plateau) 북부에서 발육하는 덩이모양의 황화물 광상이며, 그 광화암은 A'nyemaqen 오피오라이트(ophiolite) 중의 초염기성암이고 고-테티스 대양(Paleo-Tethys Ocean)의 잔존 광물이다. Dur'ngoi 구리 괴상황화광상에 대한 상세한 지질 해부를 통하여 대량의 해저 열수 분출의 지질 기록을 보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광체 상부에서 보편적으로 발육하는 얇은 층의 exhalite. 다공성 황화물로부터 보류한 교질모양의 구조, 딸기구조와 각력구조. 광석의 주요 광물질 조성. 황화철 광석 찌꺼기와 같은 시기에 형성된 방해석(calcite), 규장질(felsic) 암재집괴암(agglutinate). 대서양 Rainbow, TAG 열수 황화물 광상과 유사한 광체 대상구조 등이 포함된다. 중앙해령현무암(Mid-Ocean Ridge Basalt) 중 TiO 2 전체 암 함량에 근거하여 Dur'ngoi 오피오라이트가 대표하는 고-테티스 대양 중앙해령이 슬로우-울트라 슬로우 확장 대양중앙해령이며, 그 반확장 속도는 1.1~2.5cm/a라는 것을 추정하였다. 현재 대양 중앙 해령의 열수 황화물 광상 생성 과정에 비해, Dur'ngoi 구리 괴상황화광상은 해저 분수, 냉각 보존과 급강하 침입 등 3개 단계를 경험하였으며, 그중 해저 분수 단계는 해저 핵심복합체와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갖고 있고, 급강하 침입과정에서 광체와 초염기성암, 현무암은 충상단층(thrust fault)에 의해 제어된다. 세계 기타 육지에서 보존한 유사한 광상에 비해, Dur'ngoi 구리 괴상황화광상 시대는 젊었고[석탄기(carboniferous)], 광상 구조와 조립 및 그 모암의 갑작스런 변화 특성이 완벽하게 보존되었으며, 슬로우-울트라 슬로우 확장 대양중앙해령 초염기성암 열수 광상생성 작용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Dur'ngoi형 광상생성 작용이라 할 수 있으며, 그 광상생성 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현재 대양 중앙해령 초염기성암 체계의 열수 광상 생성 작용(특히 깊은 부분의 광상생성 작용)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