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cesses of Ocean-Continent Transition and Coupl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自然科學版
ISSN 1672-51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San-zhong,ZHAO, Shu-juan,LIU, Xin,SUO, Yan-hui,CAO, Hua-hua,DAI, Li-ming,GUO, Ling-li,LIU, Bo,YU, Shan,ZHANG, Guo-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는 대륙과 해양 암석권 전환-결합의 특수 구조 지대이다. 이 지역에 대한 동력학 탐색은 인류 밀집 지역의 지질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과정은 대륙 지각(continental crust)이 해양 지각으로 향하거나 대륙 맨틀(mantle)이 해양 맨틀로 향하는 사이의 물질 전환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해양 지각이 대륙 지각으로 향하거나 해양 맨틀이 대륙 맨틀로 향하는 지질 전환 과정은 불가역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언급한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과정은 구조 동력 작용 혹은 에너지의 전환 연결 과정을 가리키는 것이다. 협의적인 의미의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는 수동형 대륙 주변부의 대륙 지각이 명확히 얇아지는 구역부터 해양 지각이 나타나는 심해 구역까지의 지역을 포함하나, 광의적으로 해석하여 앞에서 설명한 수동형 대륙 주변부 균열 작용에 관련된 구역 범위 혹은 해양 암석권 섭입 작용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역을 포함하고 그 핵심 구역은 여전히 섭입대 및/혹은 대륙 주변부이다. 즉, 해당 지대의 내적 의미는 섭입대와 대륙 주변부 개념의 총계이고 얕은 구역의 지리요소와 깊은 구역의 지질적 요소를 포함한다. 지금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에 관한 국제적 연구가 주목을 많이 받고 국제적 지질학 이슈 문제가 비교적 많은데 그중 주로 아래 몇 가지 방면에 편중되어 있다. (1) 물질: intra-oceanic arc 형성과 초기 대륙 지각 생성, 섭입 탈수-상전이(phase transition), 마그마 공장, 변질 공장, (2) 구조: 섭입대 종류, 분단 특성(segmentation),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의 변형 패턴, 맨틀 쐐기(mantle wedge)의 정교한 대류구조, 섭입면 거칠기-공극도-침투율 시공간적 특징, (3) 과정: 섭입 과정, 구조 전이, 구조 전환, 심층의 하부부착(underplating), 층간 분리(delamination), 고압-초고압 암석 삭박, 배호(back-arc) 확장과정, 슬래브 창문(slab window), 섭입 침식과 증생, 물질 전이-전환-이동 축적, 다층 결합 과정, (4) 메커니즘: 섭입 기원과 판 메커니즘 기원, 대륙 주변부 상호 변환 메커니즘, 지진 유발 메커니즘, 심층 층간분리와 하부부착 동력학 메커니즘, 대륙 균열과 (화산형, 비화산형) 수동형 대륙 주변부 형성,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의 구조 전이 메커니즘, 새로운 고압-초고압 암석 삭박 메커니즘, 마그마 동력학, 주동 및 수동 섭입 메커니즘, 해저산 섭입, (5) 효과: 소스-싱크(source-sink) 효과, 지표 지형 과정과 심층 유동 관련, 슬래브 창문의 구조?마그마?광상 형성 효과, 주변 해분지 및 자원-에너지 효과, 섭입 및 지진-해일-산사대 재해 연쇄. 서태평양과 인도양은 중국이 심해 대양에 진출하고 '해양 강국'을 실현하는 핵심 해역으로서 중국의 많은 국가 이익을 내포하며 매우 풍부한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과정의 핵심적 과학 문제를 담고 있다. 현 단계에서 아래 몇 가지 사항을 초보적으로 개괄할 수 있다. (1) 판 재구성의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 검사, (2) 심해 과정(하부부착-층간 분리) 및 메커니즘, (3) 서태평양 대륙 주변 구조 체계와 메커니즘 전환, (4) 섭입대 분단 특성, 과정 및 지진 유발 메커니즘, (5) 지표 지형 과정과 심해 유동, 암석권과의 강한 관련, (6) 지구 역사(geological history) 기간의 스래브 창문과 구조-마그마-광상 형성 효과, (7) 해양-대륙 전환과 결합 지대 변형 패턴, 구조 전이와 메커니즘, (8) 섭입 탈수, 마그마 공장 및 마그마 동력학, (9) 주변 해분지와 자원,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9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cean-continent transition/coupling,subduction zone,the Western Pacific,the Indian Ocean,해양-대륙 전환과 결합,섭입대,서태평양,인도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