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YNOLOGICAL ASSEMBLAGES FROM THE PALEOGENE BAHULI FORMATION IN THE LIUSHUHE BASIN, HEILONGJIANG PROVINCE, NE CHINA AND THEIR BEARING ON AGE AND PALAEOENVIRONMENT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
ISSN | 1000-0674, |
ISBN |
저자(한글) | ZHENG, Yu-long,LI, Zhen-you,WANG, Bai-chang,JI, Feng-xu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헤이룽장성(Heilongjiang province) 동부 류수허 분지(Liushuhe Basin)의 고제3기(Paleogene) 바후리층(Bahuli Formation)은 유혈암(oil-shale) 광상 지층이다. 그 연대에 대한 확인은 아직 확실한 고생물학적 근거가 없고, 논쟁이 존재하며, 또한 광물화 환경에 대한 탐구도 비교적 부족하다. 상기 지층에 대한 체계적인 포자화분학적(pollen system) 연구를 통하여 아래로부터 위로 가면서 4개의 포자화분 조합으로 나누었는데 각각 Quercoidites-Retitricol pites-Retitricol porites 조합, Retitricot pites-Retitricolporites 조합, Polypodiaceaesporites-Retitricolpites-Retitricolporites 조합 및 Pinuspollenites-Polypodiaceaesporites 조합이다. 포자화분 조합의 특징에 따라 포자화분 조합의 지질시대를 상세히 토론하고, 바후리층의 시대가 중기 시신세에서 말기 시신세 사이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포자화분 조합의 조성 상황에 따라 바후리층이 퇴적할 때가 아열대-온난대의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의 산간 분지 환경이었다고 추정한다. 산지의 높은 곳에는 침엽-활엽 혼합림 식생이 자라고, 저지대(low-lying)에는 습지 수생식물, 양치류 및 이끼류가 자랐으며 이는 유혈암의 형성과 보존에 유리했다. 온도의 증가는 다소 감소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 폭이 크지 않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83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alynological assemblage,palaeovegetation,palaeoclimate,Bahuli Formation,Middle--Late Eocene,Liushuhe Basin,Heilongjiang Province, NE China,포자화분 조합,고대 식생,고기후,바후리층,중기-말기 시신세,류수허 분지,헤이룽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