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Fu-yuan,ZHANG, Wei-yan,REN, Xiang-wen,ZHANG, Xiao-yu,ZHU, Ke-chao |
초록 |
코발트 망간각(Co-rich ferromanganese crust)은 Co, Ni, Cu, Mn 및 기타 금속의 잠재적인 광산자원과 망간각층에 저장되어있는 고환경 정보의 이중 의미를 지닌다. 심해의 다금속 단괴와 열수 황화물 광상에 비해 높은 함량의 Co, Ni 및 Pt를 함유한 해산 코발트 망간각은 상업탐사의 잠재적인 목표로 될 수 있다. 세계 삼대양 해산의 코발트 망간각 자원량의 합리적인 추정을 위하여, 중국 서태평양 해산 코발트 망간각의 트롤망 수집조사자료와 태평양 해산 코발트 망간각의 분포규칙 및 코발트 망간각 광산경계를 확정하는 매개변수 지표에 대한 깊은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해산의 서로 다른 높이와 서로 다른 해양 지각의 나이에 따라 서로 다른 망간각 두께를 정해주는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 세계 3대양 해산의 코발트 망간각의 분포면적은 3,039,452.14km 2 이고 건조 망간각의 자원량은 (1,081.1661~2,162.3322)×10 8 t이었다. 태평양 해산 코발트 망간각의 분포면적은 2,123,087.12 km 2 이고 건조 망간각의 자원량은 (513.244~1026.488)×10 8 t이며, 대서양 해산 코발트 망간각의 분포면적은 512,509.74 km 2 이고 건조 망간각 자원량은 (116.5032~233.0064)×10 8 t이며, 인도양 해산 코발트 망간각의 분포면적은 403,855.28km 2 이고 건조 망간각 자원량은 (81.4849~162.9698)×10 8 t이다. 삼대양 해산의 코발트 망간각의 Mn, Co, Ni와 Cu 함량은 각각 (138.8480~277.6960)×10 8 t, (3.9676~7.9352)×10 8 t, (2.7936~5.5872)×10 8 t와 (0.8251~1.6502)×10 8 t이다. 코발트 망간각의 Co 함량, Co 플럭스와 두께의 상관분석 결과 정해준 망간각 두께는 이론적 추정 두께의 6.10%~12.20%를 차지했다. 이는 Ku 등에 근거하여 얻은 '코발트 망간각의 성장시간은 그의 전체 생명역사의 약 4%를 차지한다'는 인식과 매우 유사하였다. 삼대양 해산의 코발트 망간각의 실측 두께와 정해준 두께를 대조하여 분석한 결과, 태평양 해산 코발트 망간각의 정해준 두께의 평균치는 1.87cm이고 실측 두께는 1.77cm로서 상대오차는 약 5.35%이며 대서양과 인도양의 상대오차는 각각 18.18%와 23.23%였다. 연구 수치를 통하여 알 수 있는바, 해산의 높이와 해양 지각의 나이에 따라 정해준 망간각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합리적이며 추정해낸 망간각 코발트의 자원량은 기본적으로 신뢰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초로 삼대양 해산의 망간각 코발트의 자원량을 추정함으로써 전체적인 해분과 삼대양 해산의 코발트 망간각 자원량 추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