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G, Kehong,CHU, Fengyou,ZHAO, Jianru,HAN, Xiqiu,YE, Liming,ZHANG, Weiyan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남중국해 북부(north of the South China Sea) 대륙 사면에 링 구조(ring structure)가 있는 굴뚝형 냉용수 탄산염 암(cold-seep carbonate chimneys)의 암석학, 광물학 및 지구화학적 특성 등 방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이 탄산염 암 내층 및 외층이 뚜렷이 다른 특성이 있었고 내층의 탄산염 함량은 외층의 함량보다 높았으며 내층의 탄산염 광물이 MgCO 3 을 더 많이 함유하였다. 또한 광물 과립자가 비교적 컸으며 결정 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외층의 알루미늄, 규소 등 육원 쇄설 원소가 내층에서의 함량보다 높았다. 그리고 내, 외층의 탄소, 산소 동위원소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2개 샘플중, 내층의 delta; 13 C가 각각 -40.80×10 -3 및 -31.27×10 -3 였으며 delta; 18 O가 각각 2.67×10 -3 및 2.00×10 -3 였다. 그리고 외층의 delta; 13 C가 각각 -31.26 ×10 -3 및 -30.99×10 -3 였으며 delta; 18 O가 0.48×10 -3 및 1.85×10 -3 이었다. 기존의 이 해역 부근에 대한 연구 자료와 결합하여 굴뚝형 탄산염 암은 내층이 외층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delta;13 C 및 증가하는 delta; 18 O의 특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mm 간격으로 샘플한 delta; 13 C 및 delta; 18 O 외형 변화는 굴뚝형 탄산염 암의 링 구조와 일치하였으며 외층으로부터 내층 delta; 13 C까지의 변화 범위가 -27.50×10 -3 ~-32.05×10 -3 였으며 delta; 18 O의 변화 범위가 0.78×10 -3 ~2.34×10 -3 였다. 외층 6mm의 간격으로 샘플한 delta; 13 C 및 delta; 18 O는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가 있었으며 상관 계수 r 2 가 0.9967였다. 상술한 특성에 근거하여, 누출된 메탄 유체의 성질, 확산 알고리즘 및 퇴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으며 링 구조인 굴뚝형 탄산염 암은 단일 누출 터널이었으며, 그 생장 순서는 향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그리고 탄산염 암 외부 6mm 부분에 해수의 영향이 컸다. 이 연구 결과를 남중국해 북부 대륙 사면 메탄 누출 시스템의 회복에 이용하여 냉용수 및 열용수 사이의 연결을 구축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212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