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volution of the Holocen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terrestrialmarine interaction revealed by the borehole CH114 in the west coast of the Bohai Bay of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通報 = Marine science bulletin
ISSN 1001-63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HANG, Zhi-wen,TIAN, Li-zhu,LI, Jian-fen,CHEN, Yong-sheng,WANG, 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전신세(Holocene)에 보하이(Bohai Sea) 서해안의 CH114 시추공에서 퇴적 규조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한 결과 17속 28종의 규조류를 발견하였다. 퇴적 암석학(sedimentary petrology), 연대층위학적(chronostratigraphical) 연구(AMS14C)를 결합하여 시추공을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6개의 규조 군집대(assemblage zones)로 나누었으며 이는 전신세 이래 육지로부터 바다로의 진화 과정을 보여준다. 전신세 초기는 육지 환경(terrestrial environment)으로부터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해수 소택지(salt marsh) 환경(군집대 1의 윗부분)이었고; 6,646~4,280 cal BP는 강한 폭풍우의 영향을 받은 천해(shallow sea) 환경(군집대2)이었으며; 4,280년부터는 물이 꾸준히 옅어지는 천해 환경(군집대 3-6)이었다. CH114 시추공 퇴적 속도의 단계별 변화는 하류 공급과 비교적 우수한 상응 관계를 보였는데 3.6~2.6 ka cal BP와 0.4 ka cal BP 이래의 비교적 빠른 퇴적 속도는 각각 황허 강(Yellow River) 삼각주의 슈퍼 로브 5(Super lobe 5) 형성과 해하(Haihe River)의 입해와 대응되었다. 규조류가 기록했던 해양에 영향을 미치는 파동 변화와 전신세 기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연구 지역의 해양 영향 증가는 기온 상승과 일정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CH114 전신세 이래, 육지-해양 환경의 진화는 전체적으로 기후 및 해면 변화에 응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7018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ohai Bay,Holocene,sedimentary environment,marine influence,sediment supply,보하이완,전신세,퇴적 환경,해양 영향,하류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