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DING, Xue,LI, Jun,ZHENG, Chang-qing,HUANG, Wei,CUI, Ru-yong,DOU, Yan-guang,SUN, Zhi-lei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동태평양해팽(East Pacific Rise)과 남대서양 중앙해령(South Mid-Atlantic Ridge)의 6개 사이트의 신선한 현무암 샘플에 대하여 암석학 및 지구화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EPR 현무암 샘플을 휘석 현무암(pyroxene basalt), 기공 현무암(vesicular basalt)과 솔레이아이트질 현무암(tholeiitic basalt)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SMAR의 현무암 샘플은 주로 후석 현무암이었다. EPR과 SMAR 현무암 샘플의 표준 광물 조합은 같았으며 모두 석영과 자소휘석(Hypersthenic) 표준 광물이 발견되었고 전형적인 솔레아이트였다. EPR I 구역와 SMAR의 현무암은 경희토류가 축적되는 분배 모드를 나타냈으며, 부화맨틀 근원 지역(Enriched mantle source region, EMORB)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해당 현무암은 초기 융해 단계를 거치기 전의 부화맨틀 혹은 융해 정도가 비교적 낮은 부분적 지역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EPR II 구역의 현무암은 정상적인 해양 중앙해령 현무암(N-MORB)이었고, 해당 근원 지역은 초기 융해 단계를 거친 결핍 중앙해령 맨틀 근원지역(DMM)이었으며 일부 근원암의 융해 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EPR I 구역과 II 구역의 서로 다른 맨틀 근원 특성에 의하면 동태평양해팽의 맨틀 근원 지역은 이질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