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y of the Geochemistry and Genesis of Deep Dikes in Pishikou of Laoshan Mountain, Qingda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湖沼通報 = Transactions of oceanology and limnology
ISSN 1003-64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AN, Zong-zhu,TA, Jin-lu,ZHANG, Yu-xiang,LIU, Ming,GE, Jian-g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칭다오(Qingdao) 피스커우(Pishikou)에는 초염기성(ultrabasic) 맨틀 감람암(mantle peridotite) 포획 황반암(lamprophyre)이 존재한다. 암석학, 암석지구화학, 광물화학 등 측면에서 피스커우 황반암을 연구한 결과, 규소 함량은 적었고(SiO 2 = 33.72%~36.70%) 염기는 풍부하였으며 TiO 2 함량은 풍부하였다(2.08%~2.57%). 그리고 Mg#=25.23~37.32, SI=21.53~30.14, FL=30.25~40.64, DI=16.4~31.1였다. 앞의 수치는 황반암 마그마 진화 수준이 높지 않으며 현무암질 안산암류(basaltic andesitic)와 비슷함을 설명한다. 큰 이온 친석 원소(large-ion lithophile elements, LILE)와 경희토류 원소(light rare earth elements, LREE)를 뚜렷하게 많이 함유하였고, 고자장 원소(high field strength element, HFSE)는 상대적으로 결핍하였으며, 경희토류 원소와 중희토류 원소(heavy rare earth elements, HREE)의 분화는 뚜렷하였다. 미량원소 분포 패턴과 비율로부터 황반암은 OIB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Cr와 Ni의 부정적 비정상(negative anomalies)은 뚜렷하였고 Eu의 부정적 비정상은 뚜렷하지 않았다. Nb*값은 1보다 컸고 Nb/U=30.32~41.04였다. 이는 황반암은 부화맨틀원(enriched mantle source)의 특성이 있음을 설명한다. 마그마 상승 과정에서 지각 물질의 혼입은 뚜렷하지 않았고 감람암과 단사휘석(clinopyroxene) 위주의 분리 결정 작용을 주로 하였다. 피스커우 황반암 부화맨틀원의 형성은 아마도 중생대 중국 동부 연약권(asthenosphere)의 상승과 관련될 것으로 판단한다. 중국 북부 강괴(North China Craton)의 인장 엷어짐, 조산후기 인장 환경의 형성은 부화맨틀의 부분적 용융 및 황반암 마그마 침습의 원인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78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Qingdao,Pishikou,ultrabasic lamprophyre,geochemistry,enriched mantle,lithospheric thinning,칭다오,피스커우,초염기성 황반암,지구화학,부화 맨틀,암석권의 엷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