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가자 추출물(TCE), 차전초 추출물(PAE), 생강나무잎 추출물(LOE) 그리고 매생이 추출물(CFE)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매일 30 g의 식빵 식이를 6주령 SD 랫드에게 제공한 뒤 혈당과 지질과 관련된 지표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추출물이 첨가된 식빵을 섭취한 모든 그룹에서 체중, 음수량, 간과 신장의 무게, AST, ALP, ALT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 섭취 후 혈당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매주 1회 절식 후 공복혈당을 측정하였을 때 1주차 측정 결과에서 Con 그룹의 혈당 수치가 $134.63{ pm}27.12mg/dL$ 로 BT 그룹, BP 그룹, BL 그룹 그리고 BC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혈당이 상승하였고, 4주차 측정 결과에서는 Con 그룹( $123.63{ pm}9.62mg/dL$ ), BT(그룹 $119.13{ pm}9.60mg/dL$ ), BP 그룹( $117.37{ pm}12.77mg/dL$ ), BL 그룹( $116.50{ pm}14.43mg/dL$ )과 비교해 BC 그룹에서 $108.13{ pm}4.64$ 의 혈당치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보아 CFE가 첨가된 식빵은 혈당강하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p $124.63{ pm}17.15mg/dL$ ), BL 그룹( $121.50{ pm}13.28mg/dL$ )은 Con 그룹( $138.50{ pm}6.09mg/dL$ )의 혈당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p ${ alpha}$ 과 PPAR- ${ gamma}$ 에 대한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BL 그룹, BC그룹에서 Con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PPAR- ${ alpha}$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PPAR- ${ gamma}$ mRNA 발현의 경우, BP 그룹, BL 그룹, BC 그룹에서 가장 적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추출물 중 여러 측정 항목에서 LOE와 CFE가 첨가된 식빵식이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보였으므로 LOE와 CFE는 공복혈당 강하와 내당능에 효과가 있으며 HDL의 합성을 촉진하여 혈중 TC의 함량을 낮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PPAR- ${ alpha}$ 의 전사를 활발하게 하고 PPAR- ${ gamma}$ 와 관련된 유전인자의 활성을 낮춰 지질대사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