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xB7;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미나리 및 부추가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5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 #xB7;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 #xB7;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를 5% 첨가한 군(OP 군), 고지방 #xB7;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부추를 5% 첨가한 군(AP 군), 고지방 #xB7;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와 부추를 각각 2.5% 첨가한 군(OAP 군)으로 나누었다. 혈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HF 군에 비해 OP 및 AP 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OAP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이 N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증가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OP 군과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졌다. AI의 경우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변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미나리 및 부추의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졌다. 또한 OP 군에 비해 AP 군 및 OAP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미나리 및 부추는 지질대사 조절에 효과적으로 작용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미나리와 부추의 복합공급은 이러한 체내 지질조절에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