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aracterization of Nematode Communities in Lhalu Wetlands during the Summ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動物學雜誌 = Chinese journal of zoology
ISSN 0250-32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De-lai,PU, Bu,BA, Sang,MA, Zheng-xue,CHEN, Ling-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10년 7월 중국 라루 습지(Lhalu wetlands)의 5개 샘플링 지역에서 토양 동물(soil animal)을 조사하여 토양 선충 10,183마리를 수집하였는데 2강 6목 8과 14속에 속하였다. 그 가운데서 Eudorylaimus, Anaplectus, Geomonhystera는 주요 개체군이었다. 표층(0~5 cm) 토양 선충의 개체 수량은 총 개체 수량의 90.03%를 차지하는 것으로서 해당 개체는 표면에 분포하는 성질이 뚜렷하였다. 영양 집단(trophic group)에는 식균성 선충(fungivorous nematode)과 포식성-잡식성 선충 2가지 종류가 있었다. 선충 군집의 생태 지수가 샘플링 지역의 서식 환경에 대한 응답은 서로 다른 것으로서 토양 선충 군집의 다양성 지수 H', 균일도 지수 E가 서로 다른 샘플 추출 지역에서 분포 순서는 5 # gt;4 # gt;3 # gt;1 # gt;2 # 였고, 우점도 지수 C의 분포 순서는 2 # gt;3 # gt;1 # gt;4 # gt;5 # 였다. 이것은 2 # 샘플링 지역 선충 군집의 다양성과 안정성은 기타 샘플링 지역에 비하여 낮으며, 토양 선충 군집은 단일화 추세인 것을 설명한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선충 수량, 영양 집단, 생태 지수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개 샘플링 지역 토양 선충 군집의 유사성은 아주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서 중등 정도의 비유사성(dissimilarity)(S값 0.154~0.667)이었다. 상술한 연구 결과는 선충 군집의 변화는 서식 환경의 다양성을 아주 잘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토양 선충은 습지 생태계의 중요한 생물 지표 인자로 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4717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nematode,Community characteristics,Trophic group,Lhalu wetlands,토양 선충,군집 특성,영양 집단,라루 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