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IDO on level of E-cadherin, N-cadherin and IL-6 in gastric cancer bearing mi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腫瘤生物治療雜誌 = Chinese journal of cancer biotherapy
ISSN 1007-385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Jian-wen,WANG, Gai,SHEN, Hui-qin,LIU, Xiao-li,WU, Xi-run,LI, Zhe-ping,KANG, Gui-yun,WANG, Q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indoleamine 2,3-dioxygenase, IDO)가 형질전환된 MFC 위암(gastric cancer) 세포 이식 종양에서 E-카데린(E-cadherin), N-카데린(N-cadherin) 및 IL-6의 발현 수준을 검사하였다. 방법 : MFC 위암 세포 이식 종양 모델을 구축한 후 MFC 위암 세포 그룹, pcDNA3.1-MFC 세포[빈 플라스미드(empty plasmid)] 그룹, pcDNA3.1-IDO-MFC 세포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면역조직 화학법(immunohistochemistry)으로 3개 그룹에서 E-카데린과 N-카데린의 발현 현황을 검사하였으며, 효소 결합 면역흡착실험(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3개 그룹의 종양 이식 생쥐 혈청에서 IL-6의 발현 수준을 검사하였다. 결과 : pcDNA3.1-IDO-MFC 그룹의 이식 종양 조직에서 E-카데린의 발현은 빈 플라스미드 그룹 및 MFC 세포 그룹에 비하여 뚜렷하게 감소되었지만(P pcDNA3.1-IDO-MFC 세포 그룹의 종양 이식 생쥐 혈청에서 IL-6 발현 수준은 기타 2개 그룹에 비하여 뚜렷하게 증가되었다(P 결론 : IDO의 형질전환은 위암 세포 이식 종양에서 E-카데린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지만 N-카데린의 발현 수준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IDO가 종양 세포의 침입 및 전이에 참여하는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4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astric cancer,E-cadherin,N-cadherin,IL-6,indoleamine 2,3-dioxygenase,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위암,E-카데린,N-카데린,IL-6,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상피-간엽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