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AO, Yi-bo,ZENG, Jiang-ning,SHOU, Lu,GAO, Ai-gen,JIANG, Zhi-bing,CHEN, Quan-zhen,YAN, Xiao-jun |
초록 |
인공어초 서식지의 저서생물 군락 구조의 조성 현황을 파악하고 인공어초 설치를 통한 생태 복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6~2007년 4계절의 샹산항(Xiangshan Bay)의 전체 항만 구역과 2010년 4계절의 인공어초 구역 및 인접한 구역의 조사 데이터에 근거하여 3개 구역의 대형 저서동물 군락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 116종의 대형 저서동물을 감별하였는데, 그중, 다모류가 46종이고, 연체동물이 35종이며, 갑각류가 18종이고, 극피동물이 6종이며, 기타 동물이 11종이었다. 대형 저서동물의 밀도, Shannon-Wiener 다양성 지수 및 Margalef 풍부도 지수는 인접 구역 gt; 어초 구역 gt; 전체 항만 구역이고, 바이오매스는 어초 구역 gt; 인접 구역 gt; 전체 항만 구역의 순서를 가졌다. 이중인자 편차 분석 결과, 구역 간의 대형 저서동물의 종수(number of species), 밀도, Shannon-Wiener 다양성 지수, Pielou 균일도 지수 및 Margalef 풍부도 지수는 모두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고, 바이오매스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계절 간의 대형 저서동물의 종수와 밀도는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고, 기타 매개변수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비계량형 다차원 척도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으로 분석한 결과, 어초 구역은 인접 구역과의 대형 저서동물 군락의 유사도가 비교적 높았고 전체 항만 구역과의 유사도는 비교적 낮았다. 유사성 백분율에 따르면, 어초 구역과 인접 구역의 대형 저서동물 군락 사이의 평균 비유사성은 77.19%이며,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scutata)는 군락 간의 차이를 조성하는 중요한 기여 종이었다. 어초 구역과 전체 항만 구역 사이의 평균 비유사성은 91.34%이며, 오뚜기갯지렁이, Yoldia similis, Nassarius variciferus 및 Amphioplus depressus는 군락 간의 차이를 조성하는 중요한 기여 종이었다. 인접 구역과 전체 항만 구역의 대형 저서동물 군락 사이의 평균 비유사성은 91.47%이며, 오뚜기갯지렁이, Dosinia laminata, 및 Yoldia similis는 군락 간의 차이를 조성하는 중요한 기여 종이었다. 이중요소 유사성 분석 결과, 인공어초 구역, 인접 구역 및 전체 항만 구역의 대형 저서동물 군락은 현저한 계절 간 차이가 있지만, 구역 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서로 다른 구역의 쌍대 검사(pairwise tests) 결과, 인공어초 구역과 전체 항만 구역의 대형 저서동물 군락은 현저한 차이가 있고, 인공어초 구역과 인근 구역 및 인근 구역과 전체 항만 구역 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 샹산항 바이스산(Baishishan) 군도 해역에 설치한 인공어초는 대형 저서동물의 군락 구조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만, 영향 범위는 인공어초 구역 부근에만 국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