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AO, Ting,DING, Xiao-tao,YU, Ji-zhu,JIN, Hai-jun,ZHANG, Hong-mei,ZHU, Yue-lin |
초록 |
영양액 재배법으로 'Chunqiuwang 2호' 오이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여 4개 근권온도(root-zone temperature) 기울기 처리(temperature gradient)(20℃, 25℃, 30℃, 35℃)가 해당 유묘에 대한 생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리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근권온도가 오이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적 메커니즘을 탐구하였다. 실험 결과: (1) 25℃에서 오이 유묘를 처리하였을 때, 유묘의 높이, 줄기 굵기, 잎 면적과 지상 및 지하부 생물량은 기타 3가지 온도에서 처리했을 때보다 뚜렷하게 컸다. 그러나 35℃ 조건에서 처리했을 때는 기타 3개 처리 그룹보다 뚜렷하게 낮았다. (2) 20℃, 25℃에서 처리하였을 때, 오이 유묘 잎의 순 광합성 속도(P n )는 모두 비교적 빨랐으며, 해당 잎과 뿌리의 전분, 자당, 총당 함량은 30℃ 처리 그룹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그리고 35℃ 근권온도 처리 그룹에서는 잎의 P n 이 엄중하게 감소하였다. (3) 근권온도가 30℃, 35℃ 고온일 때, 오이 유묘의 잎과 뿌리의 POD 활성은 증가하고 CAT 활성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SOD, APX 활성은 근권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잎에서는 모두 증가하고 뿌리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4) 잎과 뿌리의 전해질 삼투율,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MDA) 함량은 25℃ 조건에서 가장 낮고 35℃ 처리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잎의 프롤린(proline) 및 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35℃ 처리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같은 조건아래 뿌리에서의 함량은 뚜렷하게 낮았다. 연구 결과, 4개 근권온도 가운데서 25℃ 온도가 오이 유묘의 생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이고 35℃ 고온으로 직접 작용하였을 때, 작용 부위(뿌리)의 2가지 주요한 삼투 조절 물질 프롤린 및 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다. 해당 조건에서 잎과 뿌리의 항산화효소의 활성 변화는 세포막으로 하여금 뚜렷한 과산화물의 피해를 받게 하였다. 뿌리의 피해 정도가 점점 심각해지면서 식물주의 전체적인 생장(whole seedlings)은 억제를 받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