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Gai-ying,JIAO, Hai-xia,WANG, Ming-yue,WANG, Rui-xing,LIN, Mo-jun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정상 대조군(control,CON) 및 만성 저산소(chronic hypoxia,CH)와 모노크로탈린(monocrotaline,MCT)으로 각각 전처리된 폐고혈압 쥐의 폐 동맥 평활근 세포(pulmonary arterial smooth muscle cells,PASMCs) 내에서 일시적 수용체 전위 M8(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8, TRPM8) 통로의 특이적 작용물질 멘톨(menthol, MT)로 유발되는 세포질 유리 칼슘 이온 농도([Ca 2+ ] i )의 변화를 관찰하여, TRPM8 통로의 폐고혈압 발병 과정에서의 작용을 연구하였다. 쥐가 CH 환경에 처하거나 1차성적으로 복강에 MCT를 주사하여 폐고혈압 쥐 모델을 제조하였다. CON 및 폐고혈압 쥐의 PASMCs을 1차 배양한 후, MT가 TRPM8 통로에 작용하여 일어나는 PASMCs[Ca 2+ ] i 변화 및 TRPM8 통로의 특이적 차단제 BCTC[N-(4-tert―butylphenyl)-4-(3-chloropyridin-2-yl)piperazine-1-carboxamide]가 MT로 인해 유발되는 [Ca2+]i 변화 작용에 대한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세포에서 TRPM8의 위치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2mmol/L Ca 2+ 및 Ca 2+ 가 없는 타이로드 용액에서, MT는 모두 CON 그룹 PASMCs의 [Ca 2+ ] i 증가를 일으킬 수 있었으며 또한 이 두가지 증가 작용은 모두 BCTC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2mmol/L Ca 2+ 및 Ca 2+ 가 없는 타이로드 용액 내에서, CON에 비하여, CH 그룹 및 MCT 그룹 내 MT로 유발되는 PASMCs의 [Ca 2+ ] i 증가폭은 모두 뚜렷이 감소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세포에서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세포핵 외 기타 부위 모두에서 PASMCs의 TRPM8 황갈색 양성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PASMCs에 있는 TRPM8 통로는 세포막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근소포체에도 존재하며 또한 CH와 MCT 전처리는 PASMCs에 있는 TRPM8 통로에 의해 유도되는 Ca 2+ 유입과 Ca 2+ 방출을 각각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