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Observations of Microscopic Structures and C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ood Cells in Four Species of Amphibians and Reptil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四川動物 = Sichuan journal of zoology
ISSN 1000-708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N, Xing-xing,ZHANG, Yao-guang,CHEN, Mu-fei,JIN, L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광학 현미경(light microscope)으로 양서류(amphibian) 동물인 아시아두꺼비(Bufo gargarizans)와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파충류(reptile) 동물인 Sphenomorphus indicus와 Phrynocephalus vlangalii 등 4종 동물의 말초 혈액에서 혈액 세포(blood cell), 혈소판(thrombocyte), 림프구(lymphocytes), 단핵구(monocytes) 세포, 호중구(neutrophils), 호염구(basophils)를 관찰할 수 있었다. 아시아두꺼비(Bufo gargarizans)와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말초 혈액에서는 호산구(eosinophils)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 화학적 염색 결과: 지질(Lipid)은 아시아두꺼비(Bufo gargarizans)와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단핵구와 과립구(Granulocyte)에 존재하였으며, 2종 파충류 동물의 혈액세포에 존재하지 않았다. 4종 동물의 혈액 세포에서 모두 알칼리성 인산화효소를 검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산성 인산화효소는 모두 검출하였다. 아시아두꺼비(Bufo gargarizans)와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세포 가운데 그 함량이 가장 많았다. 과산화효소(Peroxidase)는 Phrynocephalus vlangalii를 제외한 기타 3종 동물의 혈액 세포에 모두 존재하였다. 호중구에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4종 동물의 말초 혈액에서 산성-α-아세테이트 에스터라제(Acetate esterase)를 모두 검출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9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mphibian,reptile,blood cell,microstructure,cytochemistry,양서류 동물,파충류 동물,혈액 세포,미세 구조,세포 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