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vestigation on otolith microchemistry of wild Pampus argenteus and Miichthys miiuy in the southern Yellow Sea,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ONG, Ying,LIU, Hong-bo,JIANG, Tao,LIU, Pei-ting,TANG, Jian-hua,ZHONG, Xia-ming,YANG, Jian,WU, Lei,GAO, Yin-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전자탐침 미량분석기술(EPMA)을 이용하여 황해 남부 야생 병어(Pampus argenteus)와 민어(Miichthys miiuy)의 이석에 대해, 아가미와 칼슘 침적 특성의 초보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량적 선형 분석 결과, 2가지 어류 이석의 Sr/Ca 사이에 뚜렷한 종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병어 이석의 Sr/Ca비는 이석 핵심 및 인근영역에서 저가 지역(5.86±0.92)을 나타냈다. 3구간 Sr/Ca 고가지역은 각각 근핵심부(7.88±1.28), 제1령곳(9.44±1.82) 및 이석 경계자리(7.91±1.38)이다. 병어 부화와 초기 발육은 염도가 적합한 서식지를 필요로 하며, 유어가 후기 성장 과정에서 회유할 때 두 구간의 고염 서식지(그중 하나는 1령일 때)를 거쳐야 한다. 민어 이석의 Sr/Ca비 변동은 이석 핵심지역(7.72±0.97)에서 기타 나머지 부분보다 높았는데, 이는 민어 부화 및 초기 발육 단계가 고염도 서식지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반영하였고, 유어의 잇따른 단계의 성장과 발육과정은 염도가 다소 감소한 서식지까지 회유하여 진행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tolith,Pampus argenteus,Miichthys miiuy,electron probe microanalyzer,the southern Yellow Sea,이석,병어,민어,전자탐침 미량분석기,황해 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