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NUTRITION COMPOSITION AND BAIT EFFECT OF PROCHLOROCOCCUS MARIN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水生生物學報 = Acta hydrobiologica Sinica
ISSN 1000-320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Xia-min,MAO, Xin-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은 프로클로로코커스(Prochlorococcus marinus)에 대한 이용을 연구하기 위해 생화학적 분석법(biochemical assay)으로 프로클로로코커스의 영양 성분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몽고물벼룩(Moina mongolica)과 Brachionus plicatilis에게 섭식시키는 것을 통하여 미끼(bait) 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클로로코커스 건조 물질에는 단백질 42.32%, 조지방(crude lipids) 11.47%, 탄수화물 15.11%와 회분(ash) 17.48%가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16종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고, 총아미노산 함량은 35.88 mg/g이었으며, 8종 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이 함유되어 있었다. 조지방(crude proteins)에는 13종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그 가운데는 불포화지방산 8종(조지방 총 무게의 58.26%)이 있었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s)(54.12%) 함량이 비교적 높았고,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4.14%) 함량이 비교적 낮았다. 프로클로로코커스를 몽고물벼룩에게 섭식시킨 결과, 프로클로로코커스 최적 농도가 400×10 4 cells/mL인 조건에서 몽고물벼룩의 세대 순증식율(net reproductive rate of generation) 4.33, 내적 성장 속도(intrinsic growth rate) 0.23에 도달하였다. 몽고물벼룩이 프로클로로코커스를 섭식한 후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을 효과적으로 축적할 수 있었고, 해당 축적 농도는 6.69%에 도달하였다. Brachionus plicatilis에게 서로 다른 밀도의 프로클로로코커스를 섭식시킨 결과, 포란수와 포란율에 대하여 모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클로로코커스 공급 밀도를 48~96시간 단계에 600×10 4 cells/mL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고, 96~144시간 단계에 400×10 4 cells/mL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클로로코커스는 비교적 좋은 영양 가치와 미끼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몽고물벼룩과 Brachionus plicatilis을 배양하는 과정에서 기타 조류(algae)와 혼합하여 섭식시킬 것을 제안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2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rochlorococcus marinus,Nutrition analysis,Bait,Effect,프로클로로코커스,영양 분석,미끼,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