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progress in biochemical pathways of methanogenesi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
ISSN | 1006-687x, |
ISBN |
저자(한글) | FANG, Xiao-yu,LI, Jia-bao,RUI, Jun-peng,LI, Xiang-zhe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미생물의 메탄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메탄은 세계적으로 메탄 생성량의 74%를 차지한다. 메탄생성 과정은 바이오 가스 생산과 글로벌 기후 온난화 등에 대해 모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메탄생성균의 구체적 생화학 대사경로를 종합서술하였는데 그 본질은 메탄생성균이 세포내 일련의 특수한 효소와 보조효소를 이용하여 CO 2 또는 메틸화합물 중의 메틸을 일련의 생물화학 반응을 통하여 메탄으로 환원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메탄생성균 세포는 나트륨 이온 또는 양성자 막관통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세포막의 ATP 합성효소를 촉진하여 ADP를 ATP로 전환하고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기저물 유형이 서로 다름에 근거하여, 해당 과정을 3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CO 2 의 환원 경로, 아세트산 경로와 메틸영양 경로이다. CO 2 의 환원 경로는 H 2 혹은 메탄산을 주요 전자 공여체로 CO 2 를 환원하여 메탄을 생성하는 것이며, 그중 최신 발견-전자 불균등화 경로를 포함하였다. 아세트산 경로는 아세트산이 분열되어 메틸기와 카르복실기를 생성하는 것이며, 잇따라 카르복실기는 산화되어 전자 공여체 H 2 를 생성하는데 이는 메틸기를 환원시키는데 이용된다. 메틸영양 경로는 간단한 메틸화합물을 기저물로 하고, 외부에서 제공한 H 2 혹은 산화 메틸화합물이 자체적으로 생성한 환원 당량을 전자 공여체로 하여 메틸화합물 중의 메틸기를 환원시키는 것이다. 이 3가지 경로를 통하여 메탄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1 mol의 기저물 소모 당 생성한 ATP의 순서는 CO 2 의 환원 경로 gt;메틸영양 경로 gt;아세트산 경로이다. 메탄생성균 자체는 분리배양하기 어려워 향후 현대 생물기술과 컴퓨터 기술, 유전자 공학과 대사 모델 구축 등을 포함한 최신 기술을 통하여 메탄생성균의 생화학대사과정 및 기타 균군과의 사이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함으로써 생산 실천에 응용하도록 해야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531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ethanogen,biochemical pathways,CO lt,sub gt,2 lt,/sub gt,-reducing methanogenesis,aceticlastic methanogenesis,methylotrophic methanogenesis,메탄생성균,생화학 대사,CO lt,sub gt,2 lt,/sub gt,환원 경로,아세트산 경로,메틸영양 경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