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Components from Bark of Pterocarya Stenoptera C. DC.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天然産物硏究與開發 = Natural product R D
ISSN 1001-688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O, Peng,WANG, Jia-jia,LI, Bing,GUO, Zhan-jing,LIAO, Peng-ying,CHEN, Jun,LI, Han-xi,PAN, Wei-g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활성 추적법의 절차를 근거로, 추출, 침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LH-20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의 현대 분리 수단을 통하여 외용 항균 한약 중국굴피나무 껍질(bark of Pterocarya stenoptera C. DC)의 항균 물질에 대하여 체계적인 선별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에탄올 추출물의 친유성 추출 부위[클로로포롬(Chloroform) 부위,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 부위,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부위]가 항균 작용이 있고 기타 부위는 활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먼저 클로로포롬 부위와 아세트산에틸 부위에서 4가지 항균활성 단량체를 선별하였으며 TLC로 순도를 확인한 후 EI-MS, IDNMR( 1 H, 13 C, DEPT)와 2DNMR(HSQC, 1 H- 1 H COSY, HMBC)를 이용하여 각각 5-히드록시 나프탈렌(hydroxynaphthalene)-1,4-dione (1) ,5-히드록시-2-메톡시나프탈렌(methoxynaphthalene)-1,4-dione (2), 2,6-dimethoxycyclohexa-2,S-diene-1,4-diune (3), 3,4,5-트리히드록시벤조산(trihydroxybenzoic acid) (4)이라는 것을 감정하였다. 3가지 유형의 항균 화학 모핵[벤조퀴논(Benzoquinone), 나프타퀴논(Naphthaquinone), 벤조일(benzoyl)]의 다중 항균 성분이 공동으로 중국굴피나무의 항균 물질 기초를 구성하였다. 다중 성분 활성 센터의 항균 물질 기초를 서술하는 것은 약제내성이 쉽게 생성되지 않는 중국굴피나무의 항균 부위 약물과 약재 질량 표준을 연구 개발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4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rk of Pterocarya stenoptera C. DC.,antibacterial compound,bioassay-guided fractionation technique,isola-tion and purification,structural identification,중국굴피나무 껍질,항균 물질,바이오활성 추적,분리 및 정제,구조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