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간동맥 화학 색전술에서 자체 제작한 압박도구를 이용한 복부압박이 선량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ISSN 1738-535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장인화,이희정,박정훈,임진오,김진우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목적: 간동맥 화학 색전술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방사성 투과물질 압박도구를 적용하여 환자의 피폭선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nbsp; nbsp;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1일부터 2011년 10월30일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간동맥 화학 색전술을 시행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5.6세이고, 남녀성비는 24:1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동일한 장비 (2008년 10월 설치, Siemens사, Artis Zee 1.4V)에서 동일 시술자로부터 시술을 받았다. 시간적 간격을 두고 시행한 2회의 간동맥 화학 색전술 중 복부를 압박하지 않은 그룹을 Group A, 자체 제작한 기구 (가로, 세로 33X35cm, 두께2cm의 방사선투과물질)로 복부를 압박한 그룹을 Group B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비만측도인 체질량 지수 (BMI)에 의해 정상, 과체중, 경도비만 3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복부 압박 시 두께의 변화와 피부선량 (Entrance surface dose; ESD)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피부선량은 장비에서 묘출되는 protocol exam에서 제시된 값으로 조사하였다. nbsp; nbsp; 결과: 조사대상자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결과는 정상 9명, 과체중 5명, 경도비만 11명으로 조사되었으며, BMI에 따른 압박 유무의 평균 복부 두께변화는 과체중 (10.2%), 정상 (10.0%), 경도비만 (9.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정상 체중 군에서 group A와 group B의 평균 복부 두께는 10%의 감소율을 보였고, 과체중 군에서는 10.2%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경도 비만 이상인 군에서는 9.40%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압박을 적용하지 않고 시술을 시행했을 때의 ESD와 압박을 적용하고 시술을 시행했을 때의 ESD를 측정한 결과, Acquisition시 정상 체중 군에서 group A에 비해 group B에서 평균 ESD는 27.7% 감소율을 보였고, 과체중 군에서는 18.9% 감소율을 보였으며, 경도 비만 이상 군에서는 6.4%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Fluoro시에는 정상 체중 군에서는 평균 24.34%의 감소율을 보였고, 과 체중 군에서는 평균 13.85% 감소율을 보였으며, 경도 비만 이상인 군에서는 5.12%의 감소율을 보였다. nbsp; nbsp; 결론: TACE환자를 대상으로 압박도구를 적용하여 환자의 피폭선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해 본 결과, Acquisition시와 fluoro시의 선량이 평균적으로 모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감소 수치를 보였다. 그러므로 중재적 시술 시 적절한 압박도구의 이용으로 환자 복부 두께를 줄여 정확한 검사 시행과 더불어 환자 선량을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41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