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Upregulation of Wnt Signal Pathway by Myricetin Attenuates β-Cell Dysfunction Induced by Cytokin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ING, Ye,DAI, Xiao-Qian,ZHANG, Zhao-Feng,LI, 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은 미리세틴(myricetin)이 시토카인(cytokine)에 의해 유도된 이자섬 beta;세포(pancreatic beta; cells)의 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Wnt 경로(Wnt signal pathway)가 일으키는 작용을 연구하였다. MTT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검측하고, 방사면역측정법으로 기초 상황과 당도가 높은 상황에서 RIN-m5f beta; 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검측하였다. 또한 Western blot로 Wnt 경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 상황을 검측하였다. 종양 괴사 인자 alpha;, 인터류킨 1 beta;와 gamma;인터페론이 세포에 48h동안 혼합작용한 후, 빈 대비조와 비교해 본 결과 세포 생존율은 확연히 낮아졌으며, 기초 상황에서 인슐린의 분비량은 빈 대비조의 2.45배 가량이며, 높은 당도의 자극에서 인슐린의 분비량은 빈 대비조의 39.6%로 줄어들었다. Western blot 결과, 시토카인 처리를 거친 후 Wnt 경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 줄어들었다. 반면 미리세틴이 작용한 후의 세포 생존율은 상승하였다. 20 mu;mol/L의 미리세틴은 인슐린 분비에 미치는 시토카인의 영향을 역전시켜, 기초 상황에서 인슐린의 분비량을 감소시키고, 높은 당도 자극에서 인슐린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Western blot 결과, 미리세틴은 Wnt 경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높인다. 요약하면, 시토카인 혼합영향 48h 후에 RIN-m5f 세포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미리세틴의 간섭은 세포 손상을 감소할 수 있고, 보호 메커니즘은 Wnt 경로 활성과 관련되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4915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yricetin,cytokine,Wnt signal pathway,pancreatic β cells,미리세틴,시토카인,Wnt 경로,이자섬 β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