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O, Lan-feng,ZHANG, Li-juan,HU, Wei,LIU, Xiao-feng,LI, Hua-xing |
초록 |
PCR-RFLP 방법을 이용하여 생물 복합비료와 화학비료의 시비가 바나나 시들음병(banana wilt)과 토양 세균 군락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토양 미생물의 전체 DNA을 채취하고, 세균의 16S rDNA 통용 프라이머 27F/1492R로 16S rDNA 구간을 증폭하였으며, 16S rDNA 클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50개의 양성 클론을 선별하고, 제한효소 MspⅠ와 RsaⅠ를 이용하여 양성 클론을 소화하여 제한효소 핑커프린트(fingerprint)를 획득하였다. 서로 다른 처리의 질병 지수는 병원균 무접종 및 무비료 처리(CK1) lt; 병원균 접종 및 생물 복합비료 시비(BF) lt; 병원균 접종 및 화학비료 시비(CF) lt; 병원균 접종 및 무비료 처리(CK2)이었다. 즉, 바나나 시들음병의 발병 전에 생물 복합비료를 시비함으로써 질병 지수를 낮출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처리 조건에서의 16S rDNA 양성 클론의 제한효소 지도에 대한 군집 분석을 진행한 결과, 50개 클론의 유사도가 1.00일 때, CK1, CK2, CF 및 BF는 각각 29, 21, 11 및 25개의 군집으로 나뉜다. 바나나 시들음병은 토양 세균 군락의 다양성을 떨어뜨렸으며 생물 복합비료를 시비함으로써 토양 세균 군락의 다양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 CF 처리의 Shannon-Wiener 지수, Simpson 지수 및 풍부도는 모두 기타 처리조보다 낮았고, 균일도는 기타 처리조보다 높았다. BF 처리의 OUT 종류 및 풍부도는 모두 CK1보다 낮았고, CK2보다는 높았으며, Shannon-Wiener 지수와 Simpson 지수는 모두 기타 처리조보다 높았다. 바나나 시들음병의 발생과 화학비료 시비는 모두 토양 세균 군락의 다양성을 떨어뜨렸으며, 화학비료의 시비는 일부 토양 미생물의 농축과 일부 미생물 종의 소실을 초래할 수 있었다. 생물 복합비료는 토양 세균 군락의 다양성을 어느 정도 제고하였고, 4가지 우세종을 형성하는데 각각 12%, 12%, 8% 및 10% 차지하였다. 16S rDNA 서열 측정 결과, 생물복합비료를 시비한 경우의 4가지 우점종은 각각 미배양 delta;-프로테오박테이움(uncultured delta proteobacterium), 미배양 방사균속(uncultured actinobacterium), 슈도모나스속(Sphingomonas sp.) 및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 griseoruber)와 아주 높은 상동성을 가진다. 생물 복합비료의 시비는 토양 세균 군락 구조의 변화를 초래한다. 그 특유의 우점종에 의해 바나나시들음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가진다고 추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