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혼합모델을 이용한 새만금호 저층수 내 영양염의 공급과 제거에 관한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Energy
ISSN 2288-008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정용훈,김창식,양재삼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이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가 조성된 이후 새만금호에서 영양염( $NO_3$ -N, $NO_2$ -N, $NH_4$ -N, TN, $PO_4$ -P, TP, DISi)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2008년~2010년까지 새만금호의 표층과 저층에서 매월 관측된 환경인자(수온, 염분, 용존산소, 부유물질, Chl-a)와 상호 비교하여 특징을 논의하였다. 표층에서 $NO_3$ -N, TP, $PO_4$ -P, DISi는 제거현상을 보였고, $NO_2$ -N, $NH_4$ -N, Chl-a는 첨가현상을 보였다. 저층에서는 $NO_3$ -N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들이 첨가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NO_3$ -N을 제외한 나머지 영양염들은 저층수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혼합모델을 이용하여 저층수에서 영양염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생지화학적 과정에 의해 $NO_3$ -N이 주로 하계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NH_4$ -N과 $PO_4$ -P는 하계에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O_4$ -P와 $NH_4$ -N의 증가는 강하구 쪽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고, 표층과 저층 사이의 DO의 농도 차이와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DISi도 저층수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보였으나, $NH_4$ -N과 $PO_4$ -P와는 다르게 하계뿐만 아니라 춘계에도 공급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NH_4$ -N과 $PO_4$ -P가 방조제 쪽보다 하구 쪽에서 더 많이 공급되는 것과는 다르게 DISi는 양쪽에서 유사하게 공급됨을 보였다. 이러한 DISi의 특징은 퇴적물로부터 분자확산에 의한 flux를 계산한 결과, 저층수에서 공급되는 영양염은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것 이외에 SGD 등 다른 유입기원이 있는 것을 암시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356484776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새만금호,영양염,첨가,제거,혼합모델,Saemangeum saltwater lake,Nutrient,Addition,Removal,Mixing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