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ONG, Wei-hua,CHEN, Ju-fen,CHEN, Li-hong,XIE, Zhong-yu,XU, Jiao-xia |
초록 |
저장성은 해양과 관련된 분야에서 종합적인 실력이 강한 성(province)이다. 아울러, 연해 항구 개발은 이미 저장성 '125' 계획(12개 5년 계획)의 중대한 전략으로 되면서 항구 개발에서 오수 배출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문제로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MIKE2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중국 웨칭만 내 관측점의 조류, 조위, 수질 내 화학적 산소요구량 배경농도 및 다마이위항구 오수 배출구 계획,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배출원, 환경 목표값 등 기초 자료를 알고 있는 전제에서, 조류장을 시뮬레이션한 후, 오염물질 확산의 수질 모드를 이용하여 타이저우 다마이위항구 오수 배출 계획에서 화학적 산호요구량이 웨칭만 해역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면서 오수 배출구 주변 희석구역 범위 내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환경용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다마이위항구 오수 배출 계획에서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웨칭만 해역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았으며 전반 웨칭만 내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농도 증가는 0.001~0.005mg/L 사이였으며 증가량이 0.003mg/L보다 큰 구역은 오수 배출구 부근에만 국한되었다. 해수 내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환경용량은 비교적 컸으며 오수 내 화학적 산소요구량 배출량은 환경용량의 0.083%밖에 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