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Weak Background Noise on The Frequency Tuning of Neurons in The Rat Auditory Cortex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
ISSN | 1000-3282, |
ISBN |
저자(한글) | PENG, Yin-Ting,PU, Qing,SUN, Xin-De,ZHANG, Ji-P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자연환경 속에서 사람과 동물은 일정한 배경소음에서 신호자극을 감지한다. 하지만 낮은 강도의 배경소음(background noise)이 청각피질(auditory cortex) 뉴런의 주파수 조절 코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본 연구는 쥐 청각피질 뉴런 주파수 반응 도메인(frequency response area)을 연구대상으로 잠재적 배경소음이 79개의 뉴런 주파수 반응 도메인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약한 배경소음이 쥐의 초급 청각피질 뉴런 청각 반응에 억제 영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촉진적 영향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억제 영향은 뉴런의 주파수 조절 범위와 최고 주파수 반응 도메인을 축소시킨다. 촉진적 영향은 그 반대다. 배경소음하에서 일부 소수 뉴런의 주파수 조절 범위는 변화하지 않았으나 최고 주파수 반응 도메인은 변화되었다. 약한 배경소음은 63.64% 샘플 뉴런의 특성 주파수(characteristicfrequency)와 55.84% 샘플 뉴런의 최저 하한 기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뉴런 주파수 조절 곡선의 꼭대기 부분은 중간 부분보다 쉽게 배경 소음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 결과는 복잡한 환경에서 대뇌 창각피질이 청각 정보 인코딩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594251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background noise,frequency tuning,auditory cortex,frequency response area,characteristicfrequency,배경소음,주파수조정,청각피질,주파수 반응 도메인,특성 주파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