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진균 종(species)의 형태 특성이 제한되어 있고 그것의 형태학적 정체와 소성(morphological plasticity)으로 말미암아 진균의 외부 형태, 내부 구조 및 생리, 생화학적 지표만으로는 그 계통적 유연관계(phylogenetic relationships)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 따라서 DNA 시퀀싱, 유전체 시퀀싱 및 유전체학과 생물정보학 등 기술의 비교를 이용하여 연구진들은 진균의 진화 과정에 나타나는 대량의 단원적 계통(monophyletic lineage)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각 분류 등급의 새로운 분류 유닛을 구축하는 데 유력한 증가를 제공하여 향후의 진균 분류학 연구에 새로운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었다. 2000년 이래, 균계(Fungi)에는 적어도 1개의 아계(subkingdom), 4개의 문(phyla), 7개 아문(subphyla), 19개 강, 9개 아강(subclasses)과 40여 개의 목(orders) 등 새로운 고급 분류 유닛이 보고되었다. 또 최근 3년 동안 중국에서는 20여 개 진균의 새로운 속(genera)을 발표하였는데 그 중 절대 대부분 속의 구축은 모두 분자 증거(molecular evidence)가 존재하였다. 이로부터 대량의 새로운 종, 속, 과 그리고 더 고급적인 분류 유닛이 향후 10년 이내에 꾸준히 발견되고 구축되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분명 진균 분류학의 발전을 촉진하고 현재의 진균 분류 시스템을 완벽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반드시 그 추세에 따라 중국의 풍부한 진균 자원을 이용하여 진균 분류학의 발전에 기여하여야 한다. 또 이와 동시에 진균 분류학은 매우 준엄한 도전에 직면하였다. 도전에는 주로 세 가지 분야 즉 1) 연구가 나날이 종합적으로 확장되어 상응한 연구 경비의 지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해당 영역의 연구에 종사하는 연구진들의 더 전면적인 기술, 더 풍부한 학식이 필요하며 지식 업데이트 속도가 더 빨라져야 하는 것; 2) 새로운 종에 대한 묘사 진도가 비교적 늦어 날로 늘어나는 사람들의 종에 대한 인식 및 이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 3) 새로운 기술, 사고방식과 메커니즘으로 새로운 진균 분류학을 구축하여 새로운 종의 발견과 묘사 진도를 가속하고 더 나아가 최종적으로 사회의 진보와 과학적 발전을 위해 서비스하려면 연구진들에게 혁신적인 연구 패턴이 급히 수요되는 것 등이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