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QU, Yun,ZHANG, Ning,CHANG, Jing,JIN, Xin,WEN, Yi-kai,SI, Huai-jun,WANG, Di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식물의 잎은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하는 기관으로서 에너지 고정과 이용(energy fixation and utilization)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광유도성(light-inducible) 줄기 및 잎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specific expression promoter)의 작용 인자(acting elements) 및 그에 따른 기능을 연구하는 것은 해당 조절 유전자의 발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의미와 이용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R기술을 이용하여 감자(Solanum tuberosum L.) 유전체의 광유도성 줄기 및 잎의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 ST-LS1에서 길이가 1,556bp되는 서열을 분리한 후, 서열분석 결과, 이 단일시편은 이미 보고된 바가 있는 ST-LS1 프로모터(유전자은행 등록번호 No.X04753.1)와 99.68%의 상동성(homologe)이 있었으며, 또한 싹에서 특이적 발현되는 인자(shoot- specific expression)와 광반응성 시스-작용 인자(cis-acting element) as-2-box, 광효과 시스-작용 인자 G-box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해당 단편을 GUS 유전자와 결합하여 식물 발현벡터(express vector) pBⅠ121-ST-LS1를 구축한 후 근두암종균(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도법을 이용하여 담배(Nicotiana tabacum)를 형질전환 시켜 형질전환 담배(transgenic tobacco)를 얻었다. qRT-PCR법과 GUS활성 관련 조직화학염색법(histochemical assay of GUS activity revealed)으로 형질전환 담배를 검사한 결과, ST-LS1 프로모터가 작동한 GUS 형질전환 담배의 잎과 줄기에서는 GUS 유전자의 발현을 검출할 수 있었지만 뿌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어두운 곳, 온도가 일정하고 빛이 있는 곳, 태양광선이 조사되는 곳 등 조건에서 20일 처리 후, 형질전환 담배를 분석한 결과, 어두운 곳 조건으로 처리한 형질전환 담배에서 GUS 유전자는 발현되지 않았고, 태양광선이 조사되는 곳 조건으로 처리한 형질전환 담배의 잎과 줄기 중 GUS유전자의 발현량은 온도가 일정하고 빛이 있는 곳 조건에서 처리한 형질전환 담배보다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전자 공학을 이용하여 농작물 품종을 개량하는데 이론적 근거와 이용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444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