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by non-phototrophic microorganisms through semiconducting minera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 An-Huai,LI, Yan,WANG, Xin,DING, Hong-Rui,ZENG, Cui-Ping,HAO, Rui-Xia,WANG, Chang-Qi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자연계 중의 미생물은 에너지대사 경로에 따라 광영양 미생물(Phototropy microorganisms)과 화학영양 미생물(chemotrophy microorganisms) 2가지로 분류한다. 화학영양 미생물은 비광합성 미생물로서, 태양광(Sunlight)을 에너지 원천으로 하는 에너지이용 경로에서 장기간 배제되어 왔다. 본 논문은 미생물의 새로운 에너지이용 경로를 소개하였는데, 비광합성 미생물이 반도체광물의 광촉매 작용을 통해 태양에너지를 이용한다. 실험실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금속산화물과 금속황화물 등의 천연반도체 광물이 태양광의 유도하에 생성되는 광전자를 모방해서 화학독립 영양 및 종속영양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였다. 연구결과, 미생물의 생장은 광자에너지(photon energy) 및 광자 수량(Photon number)과 긴밀히 연계되고, 서로 다른 파장의 광조사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상황과 광물의 광흡수 스펙트럼이 서로 맞물렸다. 이 에너지이용 경로의 광에너지-바이오에너지 전화율은 0.13 permil;-1.90 permil; 수준이었다. 천연반도체 광물과 천연미생물을 함유한 적토양(Red Soil) 시스템에서 반도체 광물의 광촉매 작용으로 환경미생물의 군락구도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는 자연계 중 반도체 광물의 광촉매작용을 통해 생성된 광전자가 비광합성 미생물의 생장대사를 촉진할 수 있음을 뜻한다. 새롭게 발견된 이 에너지이용 경로는 지구상에 이미 장기간 존재해 왔을 가능성이 높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6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on-phototrophic microorganisms,Natural semiconducting minerals,Photoelectron,Energy utilization pathway,비광합성 미생물,천연 반도체 광물,광전자,에너지 이용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