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oligochitosan on the leaf physiological indices of Brassica napus L. under drought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Yan,ZENG, Xiu-e,LI, Hong-yan,MA, Qing-wen,ZHAO, Xiao-ming,DU, Yu-guang,WANG, 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본 논문은 세계 주요 유료작물인 유채(Brassic anapus L.)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가뭄 스트레스(drought stress) 조건에서 올리고키토산(oligochitosan)을 외부에서 시비하였을 때 잎의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와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POD) 활성, 엽록소 형광 파라메터 및 잎의 상대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올리고키토산으로 초기의 유채 잎을 처리 하였을 때, SOD와 POD 활성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지만 후기 유채 잎의 SOD와 POD 활성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올리고키토산으로 처리 후 프롤린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고키토산은 또한 광계 Ⅱ 최대 광화학효율(maximum quantum yield of photosystem II, Fv/Fm), 광계 Ⅱ 유효 광화학 양자 수율(excitation capturefficiency of open centers, Fv rsquo;/Fm rsquo;), 광화학 형광 소광 계수(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 qP)와 광계Ⅱ 전자전이 양자 수율(effective quantum yield of photosystem II photochemistry, Phi;PSⅡ) 등을 뚜렷하게 증가시키지만 초기 형광 소광계수(minimal fluorescence of dark-adapted state, Fo)와 비광화학 형광 소광계수(non-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 qN)는 뚜렷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올리고키토산은 유채 잎의 상대수분 함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올리고키토산을 외부에서 시비하였을 때 유채의 가뭄 연관성 생리지표를 개선하는 것으로 유채의 가뭄 저항성 능력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1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ligochitosan,drought stress,Brassica napus L.,antioxidant enzyme activity,leaf relative water content,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올리고키토산,가뭄 스트레스,유채,항산화효소 활성,잎의 상대수분 함량,엽록소 형광 파라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