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Shi-Liang,MA, Ming-Dong,PAN, Yuan-Zhi,WEI, Liu-Li,HE, Cheng-Xiang,YANG, Kai-Mao |
초록 |
차광시설을 설치하여 세 가지 광조건에서 숲의 유묘가 생장할 수 있는 벌목지, 숲틈, 임관, 숲의 일광환경(각각 100%, 56.2%, 12.5%의 광도처리) 등을 모사하여 외래종 타이완기목(Alnus formosana)과 토종 기목(A. cremastogyne)유묘의 잎형태, 광합능력, 방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두 가지 유묘의 광조건에 대한 적응 및 광 보호전략에 대하여 논하였다. 연구 결과 세가지 광조건에서 일정한 광의 세기 범위내에서 광세기의 증가에 따라 두가지 기목 유묘의 단위 면적당 잎몸무게(lamina mass per unit area , LMA), 카로티노이드(Cars), 카로티노이드/엽록소(Cars/ Chl)와 항산화 효소(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OD)), 카탈라아제(CAT), 아스크로빈산과산화효소(APX)활성이 높아졌다. 또한 최대 순 광합성속도(Pmax), 광포화점(LSP), 광보상점(LCP)와 비광화학 소멸계수(NPQ)는 모두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Chl함량과 광사용효율(light use efficiency, LUE)는 감소하였으며 순수 광합성속도(P n ), 기공전도(G s ), 기공한정치(L s )는 높아지고 세포간 CO 2 농도(C i )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 n 이 감소하는 주된 원인은 기공제한이 없는 것으로 추정이 되며 이것은 두가지 기목유묘가 모두 서로 다른 생장 광조건에 적응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같은 광조건에서 기목유묘의 경우 광저해 현상이 타이완기목의 유묘보다 심했으며 타이완기목 유묘의 광적응 능력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세기의 증가에 따라 타이완기목 유묘 NPQ의 증가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방열도 매우 적었다. 또한 같은 광조건에서 타이완기목유묘의 경우 P max 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기목유묘보다 높았으나 기목유묘의 경우 광세기의 증가로 방열이 현저하였는데 이것은 광저해가 존재할 때 타이완기목 유묘는 P max 를 높이는 것을 통하여 광에너지와 항산화 효소 시스템에 대하여 보호성 조절을 하는 반면에 기목유묘는 안테나시스템 비방사 방열을 통하여 과잉의 광 에너지를 열 에너지 형태로 소모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