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ing on Growthand Photosynthesis of Tobacco Leav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Chaohua,Li, Junying,Cui, Mingkun,Ma, Erdeng,Hunag, Guobin,Gong, 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황색종 담배(flue-cured tobacco, FCT) 품종 lsquo;윈옌(Yunyan) 87 rsquo;를 재료로 하고 야간 인공 보광(supplemental lighting)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자연 광조 시간을 대조군으로 한 후, 각각 1시간, 2시간, 3시간을 보광하는 등 3가지 처리 조건을 설정하여 보광 시간이 황색종 담뱃잎의 성장 발육,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 작용, 엽록소 형광 매개변수 및 광 응답 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1) 대조군과 비교할 때, 2시간 보광하였을 때, 담뱃잎의 엽장(leaf length), 엽폭(leaf width)과 풀키(plant height)는 모두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1시간과 3시간 보광하였을 때 그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2) 보광 처리를 거쳐 비 잎넓이(specific leaf area, SLA)는 뚜렷이 감소하였고 잎몸의 엽록소a, b, 엽록소 a+b,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1시간, 3시간 처리하였을 때 변화 폭은 2시간 처리하였을 때보다 작았다. (3) 1시간과 2시간 보광 처리하였을 때, 잎몸의 순광합성 속도(Pn), 기공 유통성(Gs), 세포 간 CO 2 농도(Ci)는 뚜렷이 증가하였으나 3시간 처리하였을 때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 보광 처리 후, PS II 최대 광화학 양자 효율(quantum efficiency, Fv/Fm), PS II 실제 광화학 양자 효율( Phi;PSⅡ), 광화학적 소멸 계수(photochemical quenching, qP)는 뚜렷이 증가하고, 비광화학적 소멸 계수(Non-photochemical quenching, NPQ)는 감소하였으며 그중 2시간 처리하였을 때 미치는 영향 폭도가 가장 컸지만 초기 형광 강도 F0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또 보광 시간을 연장하였을 때 담뱃잎 잎몸의 최대 순광합성 속도(Pmax)와 광포화점(Isat)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광보상점(Ic)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연구를 거쳐, 적당한 보광 시간은 잎몸의 성장 발육과 건조 물질 축적에 유리하며 또 엽록소 함량을 증가하고 광합성 작용을 촉진하며 광억제 현상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광에너지를 충분히 이용하여 잎몸 광합성 동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8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upplemental lighting,tobacco,growth,photosynthesis,chlorophyll fluorescence,보광 시간 연장,담뱃잎,성장 발육,광합성,엽록소 형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