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실시간 형광 정량 PCR(qPCR)을 이용하여 GmARF10 발현 패턴을 분석하였다. 콩 유전체 정보를 찾고 또 애기장대 상동유전자 서열을 통하여 콩 옥신 반응 인자(auxin response factor, ARF) GmARF10과 microRNA 분자 Gm-miR160 작용 사이트를 분석하였으며, pGmARF10?mGmARF10(mGmARF10) 분해 저항성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다. 농간균 유도법을 이용하여 콩을 전환시켰으며, 형질전환 식물체 엽편 발육 표현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mARF10은 콩[Glycine max(L.) Merri.] 뿌리, 줄기, 잎, 꽃과 꼬투리(Pod)에서 일정한 정도로 발현되었으며, 그중 꽃 내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고, 줄기 내에서 가장 낮았으며, 제1복엽 발현량은 자엽과 첫번째 쌍의 진엽보다 낮았다. mGmARF10 형질전환 식물체 복엽 형질과 크기는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그 엽록소 함량과 최대 광화학효율(F v /F m )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엽편 노화 마커 유전자 GmCYSP1 발현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콩 옥신 반응 인자 GmARF10은 엽편 농화 과정에 참여하였으며 또 엽편 노화 신호의 중요한 성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