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FU, Wei,DENG, Li-lan,XU, Sheng,HE, Xing-yuan,CHEN, Wei,LI, Mei,ZHAO, Yi,SU, Li-li |
초록 |
4년생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 유묘를 실험 재료로, 오픈톱 챔버(open-top champers, OTCs) 시뮬레이션기법을 이용하여 4가지 농도의 O 3 [40(CK), 80, 120, and 200 nmol·mol -1 ]에 따른 가스훈증 실험을 진행하고, 황벽나무잎의 광합성 색소 함량, 순광합성률, 세포막 지질 과산화물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 등 생리 지표의 변화 법칙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K에 비해, O 3 농도가 증가하고 처리 시간이 길수록, 황벽나무 유묘잎의 총 엽록소 함량,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함량과 순광합성률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는데(P O 3 농도가 80nmol·mol -1 일 때, 잎의 최대 광화학 효율(maximum photochemical efficiency, F v /F m )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O 3 농도가 120, 200nmol·mol -1 일 때, F v /F m 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는데(P 잎의 항산화 SOD(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처리를 시작한 후 14번째 날까지 증가하였다 다시 감소하였으며, 최대 감소폭은 17.22%였다. O 3 농도가 120, 200nmol·mol -1 일 때,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 O 2 -· )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P 3 농도가 80nmol·mol -1 일 때, 7일 처리한 그룹의 O 2 -· 함량은 CK에 비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황벽나무 유묘는 생장 초기에 중간 농도(80nmol·mol -1 )의 오존 훈증에 어느 정도의 적응성과 내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해당 유묘가 강한 항산화 보호 능력을 갖고 있으며, 더 높은 농도의 O 3 혹은 더 긴 시간 동안 훈증할 때 잎의 광합성 시스템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