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fferential Proteomic Analysis between Escherichia coli Isolates O157:H7 and O157 from Swin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基因組學與應用生物學 = Genomics and applied biology
ISSN 1674-568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e, Yu-zhou,Mi, Ke,Li, Jun,Chen, Ze-xiang,Xu, Li-gan,Yang, Wei,Bi, Bing-fen,Xuan, Xiong-biao,Pan, Yan,Hu, Shu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본 논문은 대장간균 O157:H7와 O157 간의 질병유발 차별과 단백질발현 차별을 연구하기 위해, 2차원 전기영동기술과 질량분석기술을 이용해 단백질체학 차별화 분석을 추진하였다. 먼저 2차원 전기영동기술을 이용해 두 균종의 단백질을 분리한 후, Image Master TM2DPlatinum 7.0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2차원 전기영동 지도의 차별을 분석하고, 질량분석기술을 이용해 차별화 단백질의 위치를 감정함으로써 해상도가 높고 중복성이 우수한 총단백질 2차원 전기영동 지도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위 두 지도에서 총 28개의 단백질 차별포인트(Av.ratio gt;2.0,ANOVA lt;0.05)을 발견한 후,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총 23종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23종 단백질에 대한 기능분석을 통해 7종 단백질이 질병유발과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중에는 라이소자임 억제제, 범용 스트레스단백질, LuxS, 플라젤린 외 3가지 유형의 외막단백질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O157:H7 균주의 발병인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O157:H7와 기타 대장간균의 질병유발 차별을 탐구하며, O157:H7 균주를 신속히 감별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36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scherichia coli,Enterohemorrhagic E. coli,O157:H7,O157,Proteomics,Differential expression,대장간균,장출혈성 대장간균,O157:H7,O157,단백질체학,차별 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