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informatics Analysis of Phosphatidy Lethanolamine-binding Protein 1 (PEBP1)Associated with Liver Toxicity Induced by Copper Nanoparticles in Rats (Rattus norvegic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ao, Zhaohui,Xue, Huiwen,Li, Xia,Dong, Shuwei,Shen, Xiao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구리 나노 입자가 쥐(Rattus norvegicus) 간독성에 대한 차등 단백질을 검사하고 그 독성 작용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차원 겔전기영동(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과 질량 스펙트럼 등 단백질체학 방법을 응용하여 간독성 관련 차등 단백질을 분리 및 식별하였고 동시에 형광정량 PCR 검증과 생물 정보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두 43개의 현저한 차등 발현 단백질 반점이 발견되었고 그 중에서 하향 조정된 한 개 차등 단백질 반점 1006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결합 단백질 1(phosphatidy lethanolamine-binding protein 1, PEBP1)로 검증 되었으며 형광정량 PCR 검증과 2차원 전기겔영동 결과는 일치하였다. PEBP1 단백질의 생물 정보학 분석은 특성이 안정적이고 신호 펩티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세포질에 위치하고 있고 비 분비 단백질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결합 단백질 집단 신호 사이트 64 YTLVLTDPDAPSRKDPKFREWHH 86 를 포함하고 있는데 주요 2차 구조 요소는 불규칙 코일과 확대 사슬이었다. 상동 분석은 쥐 PEBP1 단백질과 기타 9가지 종은 비교적 높은 상동성(유사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PEBP1 단백질의 계통수를 구축하였음을 설명한다. 중독 그룹 쥐의 간 PEBP1 단백질 발현 하향 조정은 간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초래하고 구리 나노 입자가 독성 효과을 발휘하는 경로 중의 하나 일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4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pper nanoparticles,Hepatotoxicity,Proteomics,phosphatidy lethanolamine-binding protein 1(PEBP1),Bioinformatics,Rat,구리 나노 입자,간독성,단백질체학,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결합 단백질 1(PEBP1),생물 정보학,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