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teogenomics: Improving Genomes Annotation by Proteomic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Kun,WANG, Le-Heng,CHI, Hao,BU, De-Chao,YUAN, Zuo-Fei,LIU, Chao,FAN, Sheng-Bo,CHEN, Hai-Feng,ZENG, Wen-Feng,LUO, Hai-Tao,SUN, Rui-Xiang,HE, Si-Min,XIE, Lu,ZHAO, Y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처리율이 높은 DNA 측정 기술이 빠른 발전을 하면서 더욱 많은 생물종이 유전체 서열 측정을 마쳤다. 위치 제정 암호화 유전자와 확인된 암호화 유전자의 구조는 유전체 주석(genome annotation)의 기본 임무이며, 기존의 유전체 주석은 DNA 및 RNA 서열 정보에 의해 완성되었다. 유전체의 서열 측정을 더욱 정확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유전체학 데이터로 유전체 주석 처리를 진행하여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질량분석법을 결합한 유전단백체학(proteogenomics)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단백질체는 거의 커버되어 질량분석 데이터로 유전체 주석 처리를 해왔다. 질량분석 데이터를 결합하면 이미 주석한 유전자를 발현 검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주석 처리한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고 유전체 서열을 재주석 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단백질 유전체학의 연구 내용이다. 해당 방법으로 서열 측정을 끝낸 유전체를 체계적으로 주석하는 것이 유전체를 해독하는 주요한 보충부분이다. 본 논문은 유전단백체학의 주요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을 종합하고, 해당 연구의 미래 발전을 전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5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roteogenomics,genome annotation,proteomics,mass spectrometry,유전단백체학,유전체 주석,단백질체학,질량분석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