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omic analysis of cell wall proteins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with different generation number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
ISSN | 0253-2654, |
ISBN |
저자(한글) | YAO, Ji-bing,ZU, Guo-ren,PIAO, Yong-zhe,CHENG, Jian-guo,ZHAO, Zhang-x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목적]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의 효모 숙성(Yeast aging) 과정에서 세포벽 단백질의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단백질 수준에서 맥주효모균의 효모 숙성 원인을 해석한다. [기법] 맥주효모균 FFC2146을 연구대상으로, 현미경 관찰법을 이용하여 2, 10, 15대의 연속적 세대를 거친 맥주효모균의 세포 형태를 비교하였다. 세포 침강속도(Sedimentation rate)를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효모 응집성(Flocculation)을 관찰하였다. 3,5-dinitrosalicylic acid(DNS시약) 방법을 통하여 측정한 저혈당 속도로 효모 대사 활성을 나타냈다.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용해법과 페놀 추출법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세대 시간의 매구효모균 세포벽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2차원 전기영동(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을 통하여 차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세대 시간의 증가에 따라 맥주효모균의 세포 개체 표면은 거칠어졌으며 응집 능력은 현저하게 강화하였고 저혈당 능력은 현저하게 약화하였는데 이는 여러차례 세대를 거친 후의 효모는 숙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차원 전기영동 결과, 총 309개 세포벽 단백질 반점을 얻었는데 그 중 11개 단백질 반점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6개 단백질 반점의 제15대 풍도는 제2대 풍보 2배이상보다는 작았으며 4개 단백질 반점은 제15대 효모 세포벽에서만 나타났고 1개 단백질 반점은 제2대 효모 세포벽에서만 나타났다. [결론] 맥주효모균 FFC2146은 15대 연속적 세대를 거쳐 배양한 후 그 11개 세포벽 단백질 풍도는 현저하게 변화하였으며 이 11개 세포벽 단백질의 발현수준은 맥주효모균의 효모숙성과 관계됨을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560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accharomyces cerevisiae,Yeast aging,Generation times,Cell wall proteins,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맥주효모균,효모 숙성,세대 시간,세포벽 단백질,2차원 전기영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