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ilencing of EDAG Induces Degradation of NPM1 and Sensitivity to Chemotherapeutic Drug in Acute Myeloid Leukemia Patien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ENG, Wei-wei,YANG, Yang,ZHANG, Mei-jiang,DONG, Xiao-ming,TANG, Liu-jun,WANG, Xiao-hui,ZHAN, Yi-qun,YU, Miao,GE, Chang-hui,NING, Hong-mei,LI, Zhang-yan,YANG, Xiao-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Nucleophosmin(NPM1혹은 B23.1)은 세포핵에서 널리 발현되는 단백질인산 가수분해 효소(Protein phosphatase)이며 여러면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예하면 리보솜 합성, 중심체 복제, 세포 주기 조절, 세포의 증식 및 전환 등이다. NPM1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에서 가장 보편적인 돌연변이 유전자 중 하나이다. 적혈구 분화 관련 유전자(erythroid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 EDAG)는 조혈 조직에서 특이 발현하는 유전자이며 조혈 세포의 증식과 계통 분화 조절 면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AML 환자 중에서 과발현한 EDAG는 나쁜 예후 인자들과 연관되어 있다. 전기 연구 결과에 의하면 EDAG와 NPM1는 서로 결합되고 NPM1의 안정성을 조절하지만 AML 환자 체내에서 EDAG와 NPM1의 관계 및 EDAG와 NPM 돌연변이체(NPMc + )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AML 환자의 골수에 CD34 + 세포내에서 EDAG의 발현을 억제하면 NPM1 단백질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다우노마이신(Daunorubicin)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진다. EDAG는 돌연변이체 NPMc + 와 상호 작용하지 않지만 핵 수출 억제제(leptomycin B, LMB)의 작용하에 EDAG의 과발현은 NPMc + 단백질의 안정성을 높인다. 돌연변이체 NPMc + 를 발현한 AML 환자와 NPM1 단백질을 발현한 환자를 비교해 볼 때, 해당 골수의 CD34 + 세포는 다우노마이신에 더욱 높은 민감성을 갖고 있으며 EDAG를 억제하면 민감성을 일정하게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EDAG가 AML 환자의 약물 치료 과정에서 발휘하는 작용 및 NPMc + '탈출'은 EDAG로 하여금 해당 안정성을 보호할 수 없게 한다. 이는 AML 환자의 약물 치료 과정에서 EDAG의 잠재적인 작용을 제시하였으며 동시에 NPMc + 단백질을 지닌 AML 환자는 더욱 좋은 예후 인자를 갖고 있고 NPMc + 단백질이 EDAG에서 '탈출'하는 것이 해당 안정성을 보호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3636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DAG,NPM1,NPMc lt,sup gt,+ lt,/sup gt,. daunorubicin,AML,EDAG,NPM1,NPMc lt,sup gt,+ lt,/sup gt,. 에리트로마이신,A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