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AO, Li-xia,ZHANG, Yan-jun,ZHANG, Wen-guang,WANG, Zhi-xin,NAI, Ri-le,DU, Chen,WANG, Le,LIU, Zhi-hong,LI, Jin-quan |
초록 |
캐시미어 염소의 털 생산량 및 털 섬유 품질은 케라틴(keratin, K)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네이멍구(Inner Mongolia) 흰 캐시미어 염소(Capra cashmere) 모낭 차등 발현 단백질의 변화 법칙을 연구하였다. 2차원 전기영동(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기술을 사용하여 1년 중 12개월의 매월 모낭 전체 단백질을 분리하였고 모낭 발육 주기 관련 단백질 지도를 작성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분석법을 사용하여 차등 발현 단백질 반점을 검정하였고 부분적 단백질 반점의 발현 경향을 분석하였다. 12개월 매월 표본의 2-DE 지도를 작성하였고 전기영동 매개 지지체에서 평균 255개 단백질 반점을 검출하였다. pI 4에서 7사이에 분포하였고 분자량은 30kD에서 85kD 사이였다. 소프트웨어 분석을 통해 20개 차등 발현 단백질 반점을 획득하였고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12종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검정하였다. 이러한 단백질은 주로 케라틴이었고 세포의 생물학적 과정에 참여하여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12개월 중 11월, 12월, 1월, 2월을 모낭 퇴행기(catagen)로 3월, 4월을 모낭 휴지기(telogen)로 구분하였다. 이 시기에 단백질 발현량은 뚜렷이 하강하였다.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을 모낭 번성기로 구분하였다. 이 시기 단백질 발현량은 1년중 가장 높았다. K1, K5, K71, K25는 모낭 발육의 번성기에 발현량이 가장 높았고 모낭의 성장발육을 촉진하였다. K83과 K10은 모낭 휴지기에 발현량이 가장 높았고 모낭의 발육 정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피부 모낭 단백질 발현 프로파일을 작성하였고 차등 발현 단백질 및 발현 경향을 분석하고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네이멍구 흰 캐시미어 염소 모낭 성장 발육에 대한 단백질체학 연구, 표지 단백질 탐색 및 응용을 통한 캐시미어 염소 육종에 새로운 연구 단서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