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G, Yan,WANG, Shuang,HUANG, Li-yan,MA, Hong-yu,SHU, Ying-jie,HE, Xiao-ling,MA, Hao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중국 남부 지역의 봄 콩(spring soybean) 종자는 흔히 고온, 고습도 조건에서 발육한다. 게다가 종자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약 40%)과 지방 함량(약 20%)이 높으므로, 남부 지역의 봄 콩 종자는 쉽게 변질한다. 본 프로젝트 그룹에서 기존에 진행한 차이 단백질체학 연구 결과, 자당 결합 단백질은 고온과 고습도 스트레스를 168시간 받은 후, 변질에 민감하지 않은 품종인 샹더우 3호(Xiangdou No.3)의 발육 종자 가운데서 하향 발현되었다. 분자 수준에서 GmSBP의 발현과 고온 고습도 조건에서 나타내는 반응 특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RT-PCR 기술을 사용하여 콩에서 GmSBP(GmSBP2와 GmSBPL)를 증폭하였다. 두 유전자가 코딩한 단백질은 모두 친수성을 나타냈으며, 불완전한 막 단백질을 갖고 있었다. 형광 정량의 PCR 분석 결과: 고온과 고습도 조건에서 변질하기 쉬운 품종인 닝전(Ningzhen) 1호와 변질에 민감하지 않은 품종인 샹더우 3호의 발육 종자 중, GmSBP2와 GmSBPL의 발현량은 모두 영향을 받았으며, 종자에 함유된 자당과 가용성 당 함량도 변화하였다. 낟알 발육 과정에서 GmSBP2와 GmSBPL의 발현량은 개화 후 약 30일 지났을 때 최고치에 도달했으며, 대응 시기의 자당과 가용성 당 함량도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조직 특이성에 대한 분석 결과, GmSBP와 GmSBPL 유전자는 서로 다른 조직 사이에서 서로 다른 차이 발현 수준을 보였다. 아세포 위치 결정에 대한 분석 결과, GmSBP2와 GmSBPL 단백질은 모두 세포막과 세포질에 있었다. 상술한 결과에서 GmSBP2와 GmSBPL가 식물의 비생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과정에 참여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우리가 콩 종자의 논밭 변질성과 논밭 변질의 항성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193804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