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nstruction of Lentiviral Expression Vector Expressing Human RAB27A and Investigation Its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HepG2 Cell Lin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ISSN 1671-81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Xue-jie,LIN, Wei-ran,TANG, Li-chun,SUN, Wei,WEI, Han-dong,JIANG, 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RAB27A 유전자 만성바이러스(Lentivirus) 발현 벡터를 구축하고 RAB27A이 인간 HepG2 간암세포 증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방법: pEGFP-C1-RAB27A 플라스미드를 템플릿으로 하고 PCR기법을 이용하여 녹색형광 단백을 융합할 수 있고 RAB27A 전체 길이를 가진 유전자를 증폭했다. 그리고 효소 절단 후 셔틀 벡터(shuttle vector) pENTR/U6에 삽입하고, Gateway 기술을 재활용하여 해당 유전자를 발현 벡터 pHAGEEF1α-puro-DEST위에 재조합시켜 재조합 만성바이러스 발현 벡터 pHAGE-GFP-RAB27A-puro를 구축하였다. 서열 측정을 통하여 서열의 정확성을 확인한 후, 해당 벡터와 패키징 플라스미드 psPAX2 및 세포막 플라스미드 pMD2.G를 HEK-293T 세포에 공동으로 형질전환시켜 만성바이러스를 포장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수집, 농축하여 얻은 만성바이러스 과립으로 HepG2 세포를 감염시켰다. 형광현미경으로 HEK-293T 세포와 만성바이러스가 HepG2 세포를 감염시키는 녹색 형광 강도를 관찰하였다; Western blot 기법으로 HepG2 세포주를 안정적으로 감염시켰을 때 RAB27A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검측하였다; CCK8과 페트리접시(Petri dish) 복제 형성 실험을 통하여 RAB27A를 안정적으로 과발현하는 HepG2 세포의 증식 활성 변화를 검측하였다; 유세포분석기술로 RAB27A를 안정적으로 과발현하는 HepG2 세포의 주기 분포 상황을 검측하였다. 결과: 이중효소 절단 및 서열 측정 결과를 통하여 재조합 만성 바이러스 발현 벡터 구축이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농축 후 바이러스 적정도가 높았다; 재조합 만성바이러스로 HepG2 세포를 감염시킨 후 세포 외인성 RAB27A의 단백질 발현 수준이 뚜렷하게 상향 조절되었고, HepG2 세포의 증식 활성과 클론체 형성 능력이 뚜렷한 억제를 받았으며(P 결론: RAB27A 유전자 재조합 만성바이러스 발현 벡터 구축에 성공했으며, 외인성 과발현 RAB27A 유전자가 HepG2 세포의 증식 능력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 RAB27A가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발생 발전과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1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AB27A,Lentivirus,Hepatocellular carcinoma,Cell proliferation,RAB27A,만성바이러스,간세포암,세포 증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