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teomic Analysis of Loquat Peels under High Temperature and Strong Light Stress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熱帶亞熱帶植物學報 = Journal of tropical and subtropical botany
ISSN 1005-339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Ji-mou,DENG, Chao-jun,LIN, Yong-xiang,GONG, Hui-wen,XU, Qi-zhi,ZHENG, Shao-quan,CHEN, 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고온 강광 스트레스(high temperature and strong light stress)에서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Thunb.) Lindl.] 껍질의 단백질 성분 변화를 탐구하고자, 단백질체학 방법을 이용하여 과실 일광화상(Sunburn) 저항성이 낙후한 비파나무 생식질 'WDYDB' 껍질의 단백질이 고온 강광 스트레스에 응답하는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 고온 강광 스트레스와 차광 처리(대조)에서 비파나무 껍질 단백질의 2차원 전기영동 지도 중 발현량 차이가 2배 이상에 달하는 단백질 반점은 총 31개 있었다. MALDI-TOF-TOF/MS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26개 차별 단백질 반점을 성공적으로 감정하였는데 11개 하향조절 단백질과 15개 상향조절 단백질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단백질 기능에 근거하여 해당 단백질을 방어 응답, 탄수화합물과 에너지 대사, 광합성 작용, 기타 등 4가지 유형의 단백질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동시에 고온 강광 스트레스에서 이러한 단백질의 기능과 작용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러한 차별 단백질은 비파나무가 고온 강광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과정에 참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2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oquat peel,High temperature and strong light stresses,Sunburn,Differential expression protein,비파나무 껍질,고온 강광 스트레스,일광화상,차별 발현 단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