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Feeding mouse with stable isotope labelled with amino aci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ISSN 1000-306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AN, Feng-xu,GAO, Hui-ying,XU, Zhong-wei,DI, Lin-hui,YI, Tai-long,ZHANG, Tao,WU, Fei-lin,CUI, Chun-ping,XU, 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포유동물 모델에서 안정성 동위원소 표지(stable isotope labeling by amino acids in culture, SILAC) 정량 기술의 응용을 논의하고, 질병 모델의 비교 단백질체학(Comparative proteome)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정량 내부 표준(internal standard)을 구축하였다. 1% 13 C 6 -Lysine를 함유한 SILAC 마우스 먹이로 C57BL/6J 암컷 마우스를 사양하여 FO대로 설정하고, 수컷 마우스와 교배시켜 Fl대를 번식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F2대 표지 마우스를 번식하였다. F2대 마우스의 대뇌, 폐, 심장, 위, 소장, 간장, 비장, 신장과 근육조직을 분리하고, 각 조직의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여 단백질 분해효소 Lys-C로 효소를 절단하였다. 그리고 고효율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텐덤 질량분석 기술(tandem mass spectrum, LC-MS/MS)로 감정하고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백질 정량 분석 결과에 대한 가우시안 정합 과정을 통하여, 평균값과 표준차를 확정하고 서로 다른 장기와 마우스 전체에 대한 표기 효율을 계산하였다. 그중 간장의 표기 효율이 가장 높았으며, 96.34%士0.90%이었다; 대뇌의 표기 효율이 가장 낮았으며, 92.62%土1.98%이었다. 마우스의 전체 표기 효율이 95.80%~0.64%로서, SILAC 표기 효율을 95% 이상으로 규정한 국제 표준에 부합되었다. SILAC 방법을 미생물과 세포계 모델 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모델에도 응용하는데 성공했다. 이 결론은 동물 모델 기반의 질병 발생과 발전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유력한 도구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1938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able isotope labeling by amino acids in culture(SILAC),C57BL/6J mouse,quantitative proteomics,labelingefficiency,안정성 동위원소 표지법,C57BL/6J 마우스,정량 단백질체학,표기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