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장구균 Enterococcus faecalis의 다제배출 펌프단백질 EmeA의 생화학적인 특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ISSN 1225-9918,2287-34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권현주,김병우,김광현,김영희,이은우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8-01-01
초록 Enterococcus faecalis ATCC 29212 균주의 염색체로부터 클로닝된 다제 내성 유전자 emeA의 발현은 항생제 및 여러 약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며, DAPI와 Hoechst 33342 등을 배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약제 초감수성 숙주균주인 대장균 KAM32에 emeA 유전자를 발현시키고, 다제배출 펌프단백질인 EmeA의 생화학적인 특징에 대해 발표한다. EmeA는 39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ajor Facilitate Super Family의 전형적인 특징인 12개의 막관통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Lactococcus lactis의 Blt 및 Staphylococcus aureus의 NorA, 그리고 Escherichia coli의 TetA 등과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형광기질인 ethidium bromide와 acriflavine을 이용한 약제축적활성 실험에서 EmeA를 발현하는 균주는 대조균주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세포내 약제축적을 나타내었으며, ethidium bromide를 이용한 약제배출활성 실험에서 EmeA 발현균주는 에너지 의존적인 ethidium bromide 배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제배출 펌프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reserpine은 EmeA의 ethidium bromide 배출활성에 대해서도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8179632466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nterococcus faecalis,multidrug efflux pump,antibiotic resistance,Em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