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Dietary Lipid on Monoamine Oxidase Activity of Developing Rat Br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eo, Eui-Zu,Choi, Hay-Mie,Choi, Myung-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5-01-01
초록 식이 지방함량에 의한 성장기 뇌의 monamine oxidase(MAO)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옥수수 기름을 각각 10, 2, 0.5% 포함한 3종류의 식이를 임신한 Sprague Dawley종의 흰쥐에게 임신말기부터 제공했다. 수유기간중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10% 옥수수 기름) 일부에 분만후 0.5% 결핍 식이를 섭취시켰으며, 또 0.5% 식이군의 일부에 이유후부터 10% 정상식이를 주어 회복 효과를 관찰하였다. 전 실험기간동안 임신 말기부터의 결핍 식이군의 MAO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나 분만후부터 0.5% 결핍식이를 제공한 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erotonin을 기질로 하여 MAO type A 활성도를 살펴본 결과 분만후의 결핍에 의해서도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주었다. 각 군의 뇌 mitochondria의 지질조성을 살펴본 결과 결핍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phospholipids/cholesterol의 비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또한 membrane fluidity의 한 지표인 p/s의 비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들로부터 성장 초기에 지방함량을 조절한 식이에 의해 뇌 mitochondria의 지질 조성이 크게 변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그 외막에 결합된 MAO 활성도도 유의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5347551908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