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 coli C-600 succinate Semialdehyde Dehydrogenase의 정제 및 특성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진수,주충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2-01-01
초록 E. coli C-600의 $NADP^+$ 의존성 succinate semialdehyde dehydrogenase(SSALDH)를 ammonium sulfate 침전, DEAE-sephacel chromatography, hydroxylapatite chromatography 등의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분리정제한 succinate semialdehyde dehydrogenase의 분자량은 210,000 dalton이었으며, SDS-polyacrylamide 전기이동을 행한 결과 동일한 subunit로된 tetramer였고, subunit의 분자량은 50.100 dalton이었다. 이 효소의 succinate semialdehyde에 대한 $K_m$ 값은 $1.8{ sim}10^{-5}M$ 인데 비해, indole-3-acetaldehyde semialdehyde나 glutaraldehyde에 대한 $K_m$ 값은 각각 2.7, 8mM로 높았으며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glyceraldehyde, benzaldehyde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 효소는 주로 succinate semialdehyde에 대해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E. coli의 에너지 이용이란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NADP^+$ 에 대한 $K_m$ 은 $8.9{ sim}10^{-5} ;M$ , 최적 pH는 10.0, 최적온도는 $45^{ circ}C$ , pI값은 5.8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2347551829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