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담즙울체간에서 carboxylesterase, arylesterase 및 cholinesterase의 활성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한 실험으로서 흰쥐의 총담관을 결찰하고 12시간부터 42일까지의 담즙울체간에서 세포질, mitochondria 및 microsome의 carboxylesterase, arylesterase 및 cholinesterase활성도를 측정하는 한편 혈청에서 이들 효소활성도도 함께 측정하였다. 또한 흰쥐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14일 경과한 쥐의 담즙울체간에서 이들 효소의 $K_m$ 과 $V_{max}$ 를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세포핵 및 핵외 RNA합성속도와 세포질, mitochondria 및 microsome의 단백합성속도를 측정하였다. 흰쥐 담즙울체간의 cytosolic 및 mitochondrial carboxylesterase 활성도는 총담관결찰 후 7일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microsomal carboxylesterase활성도는 총담관결찰 후 1일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carboxylesterase 활성도는 총담관결찰 후 3일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흰쥐 담즙울체간의 cytosolic 및 mitochondrial arylesterase활성도는 총담관결찰 후 14일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microsomal arylesterase 활성도는 총담관결찰 후 1일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arylesterase 활성도는 실험 전기간 동안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흰쥐 담즙울체간의 cytosolic cholinesterase 활성도는 실험 전기간 동안 별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mitochondrial 및 microsomal cholinesterase 활성도는 각각 총담관결찰 후 14일부터 42일까지 그리고 12시간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cholinesterase 활성도는 총담관결찰 후 1일부터 42일까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흰쥐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14일 경과한 쥐의 담즙울체간에서의 carboxylesterase, arylesterase 및 cholinesterase의 $K_m$ 치는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이들효소의 $V_{max}$ 치는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흰쥐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14일 경과한 쥐의 담즙울체간에서의 세포핵 RNA와 세포핵외 RNA합성속도는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흰 쥐의 총담판을 결찰한 후 14일 경과한 쥐의 담즙울체간에서의 세포질, mitochondria 및 microsome의 단백합성속도도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 결과로 보아 흰쥐 담즙울체간의 carboxylesterase, arylesterase 및 cholinesterase는 그 활성이 감소되는 효소이며 이들 효소의 활성감소는 담즙울체간에서 그 합성이 저하되어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