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thanol중독 흰쥐에서 총담관결찰이 간의 Monoam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정성광,곽춘식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2-01-01
초록 이 연구는 간담도 질환시 음주의 해로움에 대한 생화학적 배경의 일단을 밝히고자 시행한 실험으로서 급성 및 만성 주정 중독을 시킨 흰쥐에게 당즙울체를 야기시켜 간의 monoamine oxidase(MAO) 활성도를 측정한 것이다. 흰쥐에게 만성 주정 중독을 시켰을 때 간의 mitochondrial 5-hydroxytryptamine-MAO(5HT-MAO) 및 benzylamine-MAO(Benz-MAO)의 활성도는 각각 약 41% 및 약 42% 증가하였으며, 급성 주정 중독을 시켰을 때는 mitochondrial BenzMAO의 활성도가 약 35% 증가하였다. 총담관결찰로 담즙울체만 야기했을 때는 간의 mitochondrial 5HT-MAO의 활성도가 총담관결찰 후 3일에는 약 37%, 7일에는 약 38%, 14일에는 약 57% 감소하였으며, 또한 mitochondrial Benz-MAO의 활성도도 이와 같은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만성 주정 중독 후 총담관결찰로 담즙울체를 야기했을 때 및 총담관결찰 후 급성 주정 중독을 시켰을 때 간의 mitochondrial 5HT -MAO 및 Benz-MAO는 주정 중독을 시켰을 때 보다는 그 활성도가 낮았으나 담즙울체만 시켰을 때 보다는 그 활성도가 높았다. 그리고 microsomal MAO들은 주정 중독을 시켰을 때만 그 활성도가 약간 증가되었다. 이상 성적으로 보마 간의 MAO는 주정 중독시에 그 활성도가 증가되는 효소이며 또한 담즙울체시 주정 중독이 야기되면 이 효소의 활성도가 당즙울체만 있을 때 보다 증가되는 효소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성적은 담즙울체로 간손상이 있을 때는 음주를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반영하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2347551828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